혼인은 단순히 남녀의 결합뿐 아니라 인륜의 시발점이어서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인류의 혼인은 잡혼(雜婚), 혈연혼(血緣婚), 과혼(夥婚), 대우혼(對偶婚) 등의 단계를 통해 발전해 왔다. 유교전통이 강한 徽州지역은 혼인풍속에도 짙은 지역성을 띠고 있었는데, 휘주지역 혼인의 원칙과 풍속을 살펴보면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 다. 첫째, 동성불혼(同姓不婚)의 원칙이다. 이는 중국 역사상 일찍부터 금지규정으로 되어 있어서 관습 뿐 아니라 법률적으로도 엄격히 금지되어 위반자는 징역, 장형 등으로 처벌하였다. 둘째, 문당호대(門當戶對)의 원칙이다. 이는 비슷한 집안까리의 혼사로 전통 봉건사회의 신분질서와도 연결되어 족규(族規)나 가법(家法)에 계율로 명시되어 있었다. 만약 이를 어길 경우에는 사당에 들이지 않거나 심지어는 족보에서 제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반드시 이와 같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비교적 좋은 가풍을 가진 젊은 남녀를 중시하였기 때문이다. 명청대 휘주(徽州)지역의 혼인습속은 일반적으로 주자가예(朱子家禮)를 따랐는데, 그 외에도 비록 낡은 관습이었긴 하지만 지역성을 띤 몇 가지가 있었다. 첫 번째는 노역혼(勞役婚)이다. 이는 처자지가(妻子之家)를 위해 부역을 해야 하는 특별한 혼인 형태로 일종의 데릴사위 형식을 말한다. 이러한 혼인은 보통 기한을 정하기도 하였는데, 주로 사회적 지위가 낮거나 경제적 능력이 없는 계층에서 실행하였다. 두 번째는 동양식(童養媳)의 풍습이다. 이는 일종의 민며느리제로 여자의 집안이 빈곤하여 딸을 키우기 힘든 경우, 일찍부터 남자 집에 보냈다가 적령기가 되면 결혼식을 올리는 혼인 형식이다. 동양식(童養媳)은 명청시기 휘주(徽州) 각 지역에 존재하였으며 매우 유행하였는데 이는 일종의 여자에 대한 학대이기도 하였다. 어린신부는 시집에서 온갖 고통과 구박을 받았다. 그리하여 휘주에는 민며느리의 애원과 고통을 노래한 민요들이 전해지고 있다. 세 번째는 창친(搶親)으로 이는 남자가 여자 집의 허락 없이 여자를 억지로 빼앗아오는 것이다. 그러나 휘주의 창친(搶親)는 대부분 선의에 의한 것으로 그 원인을 찾아보면 납채 예물이나 금품을 준비할 능력이 없는 남자의 경우에 보통 이러한 혼인방식을 택하였다. 네 번째는 조혼(早婚)의 풍습이다. 이 혼인의 근원을 찾아보면 휘주남자들은 보통 장사를 위해 일찍 집을 떠나야 했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도 집을 지키는 여자는 시부모 봉양의 책임을 져야 했기 때문에 많은 고통이 따랐다. 이 외에도 휘주(徽州)지역의 혼인 악습으로는 하인계층에 속하는 남녀를 적령기에 결혼시키지 않고 나이 40~50이 되도록 그냥 두거나 혹은 평생 혼자 살게 하면서 집안일을 시키는 경우도 있었다.
婚姻不仅是合二姓之好而且是承万世之嗣的大事. 人类的婚姻经历了杂婚, 血缘婚, 伙婚和对偶婚等发展阶段. 至于拥有深厚儒家传统的徽州,在明清时代,其婚姻的民俗传承极具地域特色. 本文涉及的內容主要有: 第一是同姓不婚. 同姓不婚的族外婚在中国历史上早有规定,违者分别被处以徒, 杖等刑. 第二是门当户对. 在中国,徽州婚姻讲求门第即门当户 对观念的习俗由来已久,根深蒂固. 家族即不当与之并齿,生不许入堂, 死不许入祠. 徽州婚姻中门当户对的习俗惯制,既有政治性的因素,即维护封建的尊卑等级名分,也有宗族伦理的原因. 但也不必攀附豪门势族, 娶妻看中的也只是对方良好的家风. 明清时期徽州婚姻除了严格按照朱子家礼要求的一般习俗惯制,还有一些特殊的婚姻习俗惯制,确实体现了浓郁的徽州地域特色. 第一是劳役婚. 劳役婚是一种以入赘形式出现的为主家即妻子之家或妻子之主服役的 特殊婚姻形态. 主要限于下层民众特别是佃仆等地位卑下, 无经济能力婚娶的阶层. 第二是童养婚. 明清时期徽州还广泛存在着童养婚的习俗. 因女家贫穷,无力持养而送至男家生活,待长大至成婚年龄时再举行婚礼的 一种婚姻形式. 这种早婚习俗,是对妇女的一种摧残. 童养媳在婆家几乎 是受尽了苦难和折磨. 徽州有一首歌谣唱出童养媳心中的痛苦与哀怨. 第三是抢亲. 抢亲是历史上徽州经常出现并普遍存在的一种婚姻习俗. 何谓抢亲?男宅不得女宅同意,强将女子抢来,谓之抢亲. 不过徽州的抢亲大多是善意的. 推厥原因,殆由礼物太繁,聘金过多,始无力者迫而出此. 第四是早婚习俗. 徽州早婚的习俗中充满了很多的无奈.早婚不仅给身心尚未 完全发育成熟的少年男女带来体弱多病的弊端,而且更重要的是少年新婚之别, 踏上茫茫经商征途后,居家苦守的少女不得不肩负起时候奉养公公, 婆婆等重任. 因此,徽商的经商成功史,在某种程度上说就是一部徽州妇 女的血泪史. 徽州婚姻习俗中還有陋俗存在,如婢女不予适时婚嫁. 有至四五十岁不嫁者,有终其身不嫁者. 终岁勤动,未尝止息.
【국문초록】
Ⅰ. 명청시기 휘주 혼인 풍속의 기초적 특징
Ⅱ. 명청시기 휘주 혼인 풍속의 절차 및 내용
Ⅲ. 명청시기 휘주의 기타 혼인 풍속
Ⅳ. 휘주 혼인의 고루한 습속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