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253.jpg
학술저널

Milton’s Eve in Paradise Lost

  • 231

영국 낭만주의자들로부터 자유론자 혹은 정치적 혁명가로 불리우며 이상주의자들의 찬사를 받았던 존 밀튼은 영국의 낭만주의 시인 윌리엄 브레이크가 지적한 것처럼 『실낙원』에서 보여준 왜곡된 성 개념의 표현으로 인해 여성 차별주의자로서 아무런 저항 없이 인식되어지고 있다. 이 말은 밀튼이 보여준 최초의 여성인 이브가 원죄의 원인 제공자이며 악과 연루된 인류의 적대자 개념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확실히 밀튼이 자신의 결혼관이나 두 성사이의 관계를 언급하는 책자들에서 보여준 우주의 개념은 계층구조로 이루어진 질서화된 개념의 우주관이며, 이러한 계층구조에 대한 믿음은 남성에 대한 여성의 하위 개념도 포함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인문주의자 그리고 청교도로서 밀튼이 보여준 노력은 여러 형태의 압제와 독재에 대항을 해 양심의 자유와 수준 높은 시민적 자유 정신을 고취하려는데 있다. 즉 밀튼의 계층구조 개념이 남편과 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편의 독재적 권위나 부인의 자주권 박탈을 합리화하는 것은 아니다. 밀튼이 보여준 계층구조의 개념은 두 성의 상호 관계를 통한 각자의 정체성 확보와 개인의 자유를 최대화하는데 있다. 서사시로서 『실낙원』은 다른 서사시들처럼 전쟁이나 모험의 세계가 아닌 아담과 이브의 가정이라 할 수 있는 에덴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가정을 배경으로 한 두 성의 관계에 있어서 이브는 인간 활동의 모든 영역에 참여하면서 인간의 신에 대한 불복종이 있기 전까지 아담과의 상호 관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과 자주성을 잃지 않고 이상적 결혼 생활에서의 이상적 부인상을 보여 주고 있다. 아담과 이브는 각자 한 개인으로서 그리고 상호 보완 관계 속의 존재로서 자신들의 정체성과 영역을 충분히 구축하고 있다. 이브가 인간 원죄의 원인 제공자라는 점도 재고의 여지가 있는데, 이브가 아담과 헤어져 사탄의 꾀임으로 선악과를 맛보았을 때, 즉 그들의 헤어짐에는 아담의 충분한 동의가 있었다. 다시 말하면 인류 타락의 역사에는 남성으로서의 아담이 연루돼 있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인간 원죄에 있어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깨닫고 모든 처벌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밀튼의 이브는 죽음으로부터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자신을 희생한 예수의 모습에 비유 될 수도 있는 것이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