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253.jpg
학술저널

『明心寶鑑』 探討

  • 240

본고는 朝鮮初부터 근래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民間의 漢文敎育은 물론 人性敎育의 대표적 교재로 사용되어 한국인으로서 모르는 이가 없을 정도인 『明心寶鑑』에 대한 초보적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고, 나아가 주로 그 流傳ㆍ編者 및 우리나라 版本 문제 등 書誌學的 考察을 하여 기초적 연구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차후 『明心寶鑑』의 思想的ㆍ文化的 含意 分析 등의 본질적 내용 연구 그리고 그 漢字ㆍ漢文敎育과 道德敎育ㆍ人性敎育的 價値와 活用方案 등에 관한 응용학적 연구 등 각 방면에 두루 공헌하려는 목적 아래 간략히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그 결과 우선 『明心寶鑑』의 편자는 中國 明初의 范立本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어쨌든 우리나라에 傳來된 후 朝鮮時代 초등교육기관 즉 書堂의 한문입문서 및 도덕지침서로 각광받으며 중국에서보다 더 많이 읽혔고, 또 方刻本ㆍ抄略本도 수없이 만들어지는 등 우리의 책이 된지 오래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明心寶鑑』은 최초 중국의 것에서 우리의 실정에 맞게 번잡한 것들은 빼고 『秋適本』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나아가 우리나라 사람들의 언행까지 수록되는 등 上着化되어 우리 민중들의 가치관 형성에 중대한 작용을 한 우리의 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상태에 있다. 각종 간본ㆍ주해본 등이 500 여종에 이르는데 비하면, 학술적 분석연구는 등한시되어 왔던 것이다. 어쨌든 인성교육과 한자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이 때에, 우리가 주도가 되어 각국의 간본과 관련분야의 연구성과도 두루 참고하여 좀더 세밀하고 깊이 있는 고증과 분석을 곁들인 교재ㆍ교양서로 재탄생시켰으면 하는 바이다.

前言

Ⅰ. 『明心寶鑑』的內容

Ⅱ. 流傳

Ⅲ. 編者

Ⅳ. 價値

Ⅴ. 主要韓國版本

Ⅵ. 結語 - 『明心寶鑑』在韓國

參考 文獻

국문 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