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河南 春宮洞 3層과 5層石塔의 建立 時期와 意義

A Study on the Building Time and Significance to the Three and Five Storied Stone Pagoda of Dong Temple-Site in Hanam ChunGung-Dong

108187.jpg

현재 경기도 河南市 春宮洞 桐寺址로 알려져 있는 곳에는 3층과 5층 석탑이 좌우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桐寺址는 오래전 廢寺되었기 때문에 현재 남아있는 3층과 5층 석탑은 사찰의 위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桐寺址에 있는 2기의 석탑은 일제강점기였던 1917년 처음 조사가 이루어진 후 1960년대에 들어와 경기도의 주요 석탑으로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1965년 석탑에 대한 해체 수리시 舍利孔과 莊嚴具들이 발견되었으며, 1980년대 초반 석탑을 중심한 경작지 일대에서 寺名을 알 수 있는 명문 기와와 사지의 연혁을 대략적으로나마 알려주는 여러 점의 기와가 수습되어 사찰은 늦어도 고려초기에는 창건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재까지의 조사와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두 석탑의 양식적 특징과 출토 유물들과의 상관관계를 통하여 건립 시기를 추정해보고, 두 석탑이 한국 석탑의 양식사에서 어떤 중요성과 의의가 있으며, 두 석탑을 통하여 시사받을 수 있는 불교사적인 위상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桐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초창되어 고려시대 들어와 사찰의 위상에 걸맞게 대대적인 중창이 이루어지면서 석탑이 건립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는데, 현재로서는 두 기의 석탑 중 어느석탑이 가람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었는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桐寺는 석탑의 양식과 규모, 남쪽으로 이어지는 중요 교통로상에 위치하고 있어 고려초기 하남을 중심한 한강이남 지역 불교계의 중심적인 사찰이었음을 시사받을 수 있다. 또한 한 사찰에 두 기의 석탑을 배치하는 쌍탑가람일 경우 불국사와 같이 다른 양식의 석탑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동시기에 동일한 양식을 건립 배치하는 것이 상식적인 가람배치였다. 따라서 왜 현재의 동사지에 서로 다른 양식의 석탑이 현존하게 되었는지에 대한 문제는 향후 정밀조사를 통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이다. 이 문제는 석탑의 소속 사찰 규명, 석탑의 원위치, 동사지의 전체적인 가람 배치 등과 맞물려 있으며, 동사지의 구체적인 연혁이나 불교사적인 위상을 규명하기 위해서도 풀어야 할 선결과제이기도 하다.

There were built form a line three storied stone pagoda and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Dong temple-site, Chungung-dong in Hanam city. It was a ruined temple. Two stone pagodas show the history and position of Dong temple-site. They had been surveyed to Korea under Japanese rule on 1917. Following, they were watched by the investigator as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in GyeongGi province. Several investigators go deep into the study of the two stone pagodas. Dong temple-site was established to Unified Silla through the tiles and remains. It was enlarged with building stone pagodas in Korea dynasty. This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Dong temple in Hanam country. Dong temple was situated an intersection between the northern area and the southern area. The temple lies to the south of Han river. It was well situated to the cultural exchange between the south and north. Two stone pagodas show the center of history and position of Dong temple. As the results of pagoda’s research work, two stone pagodas were built in the early korea dynasty. To put it concretely, built in years of the 10th century. Now, building time was inverted front and rear, between three storied stone pagoda and five storied stone pagoda. As the research work on two stone pagodas, three storied stone pagoda was estimated ahead of the times. At any rate, Dong temple was estimated that central temple in Hanam city and below country of Han river from large scale of the two stone pagodas. They were worthy of notice that twin pagoda systems in Korea dynasty. It was treated a subject problem. Many problems awaiting solution, why build the different pagoda style, detailed history of the temple, boundary of the temple, primarily position. These problems become clear slowly through the close investigation.

국문초록

Ⅰ. 序論

Ⅱ. 兩 石塔의 樣式과 建立 時期

Ⅲ. 兩 石塔의 特徵과 美術史的 意義

Ⅳ. 石塔으로 본 桐寺址의 位相

Ⅴ. 結論

參考文獻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