葛金芳, 常征江 두분의 宋代錢荒의 생성원인에 대한 주장에 대하여 筆者는 商榷의 意見을 提示하고자 한다. 筆者는 宋代錢荒이 엄격한 “錢禁”과 “銅禁” 政策으로 인하여 발생한 現象이 아니고 이와 반대로 “錢禁”,“銅禁” 政策이 어느정도 貨幣存量에 일조를 하였다고 생각한다. 宋代 錢荒과 “錢禁”,“銅禁” 政策은 사실 그리 큰 關聯性이 없고 그 근본 원인은 政府의 經濟 獨占과 管理制度가 金融市場의 發展을 저해하였고 社會經濟的 要求를 滿足 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For the views of jinfang Ge and zhengJiang Chang, about the causes of “shortage of copper money” on the Song Dynasty, the authors put forward some different opinions. The author thinks the reason of the shortage is not the policy of “copper and money forbidden”. On the contrary, the policy pushed up the quantity of monetary on market. The shortage of money have nothing to do with the forbidden policy. The real reason is that the government monopoly and control of the economy and caused growth retardation of the financial system, which can not meet the social and economic needs.
一.筆者認爲“宋代銅錢的名義價值即實際購買力長期低於其實際價值,結果導致銅錢的銷熔ㆍ外流和沉澱等痼疾不僅不能舒解,反而愈演愈烈”這一說法並不確切
二.嚴厲的“錢禁”與“銅禁”不會“加劇流通中銅錢的缺乏”,相反,它確實增加了流通中貨幣存量
三.餘論:“錢禁”與“銅禁”政策與錢荒之間關系不大
四.贅言
參考文獻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