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254.jpg
학술저널

How to Get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to Think and Interact in English

  • 37

영어가 초등학교 정규과정에서 가르쳐 지게 되면서 많은 학교들이 학생들의 더 나은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영어 모국어 화자를 교사로 초빙하여 영어시간을 구성하고 있으나, 실제로 그 효과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전무하다. 본 연구자는 영어 모국어 화자가 투입되어 운영되고 있는 한 초등학교의 영어시간을 한 학기에 걸쳐 관찰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발견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두 번째 학기에 영어 쓰기 지도를 소개하여 실험 영어시간을 운영해 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가 단순히 교사가 하는 영어를 듣고 따라서 하고 외우는 것이 아니라 영어 쓰기 활동을 통해 자발적인 자기 표현을 하고, 그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영어로 생각하고 다른 학습자와 또한 교사와 지속적으로 영어를 사용하여 의미 있는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음이 파악되었다. 즉, SLA의 중심 개념인 상호교류를 바탕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언어교류의 기회가 학습자에게 최대한 주어질 수 있고, 그 기회를 학습자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가 등의 관점에서 실험적 영어수업을 시도하였으며, 초등학교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할 수 있는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창출된 상호교류 적이며 협동적인 영어수업을 통해 L2에 대한 언어 지식을 내재화시키는 과정과 언어 교류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능력개발의 가능성을 찾았다.

Ⅰ. Introduction

Ⅱ. Writing Techniques

Ⅲ. Hanyang Elementary School’s English Program

Ⅳ. An Experiment With Using Writing Prompts and Quantitative Assessment

Ⅴ. Conclusion

〈참고 문헌〉

〈국문 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