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An EPG study of English /l/ and Korean /l/

  • 31
108255.jpg

본 연구는 EPG를 사용하여 다양한 음운론적 위치에서 영어와 한국어 측음 /l/이 어떻게 발음 되어지는가를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영어와 한국어 측음 /l/의 음절 앞, 음절 가운데, 그리고 음절 뒤에서 발생하는 이음들을 EPG를 사용하여 그들의 혀-입천장 접촉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들의 조음적 특성을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보면 음절 앞에서는 영어 /l/은 연구개음화가 되지 않은 측음 [l] (clear l)로 발음되었으며 한국어 /l/은 외래어를 제외하고 음절 앞에서 위치할 수 없었다. 음절 가운데에서는 영어 /l/은 음절 앞과 마찬가지로 연구개음화가 되지 않은 측음 [l] (clear l)로 발음되었으며 한국어 /l/은 설탄음 [ɾ]로 발음되었다. 음절 뒤에서는 영어 /l/은 연구개음화 된 측음 [ɫ] (dark l)로 한국어 /l/은 영어 /l/이 음절 앞, 음절 가운데에서 발음되었던 연구개음화가 되지 않은 [l]로 발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눈으로 보이지 않은 영어와 한국어 /l/의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이음들의 혀-입천장 접촉을 눈으로 확인 시켜주었다는데 의미가 크다 할 수 있겠다.

1. Introduction

2. Methods

3. Results

4. Conclusion

〈References〉

〈국문 요약〉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