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역 주택시장의 순환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ycle of Local Housing Market

  • 293
108310.jpg

벌집순환모형(HCM)은 거래량과 가격의 관계가 순환하면서 변동한다는 이론으로 Janssen에 의해 실증된 후 주택시장을 전망하는 이론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실증적 검증이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7대 도시에 대하여 HCM에 의한 주택시장의 순환변동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순환의 양상은 두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서울ㆍ인천ㆍ대전 지역은 HCM과 유사한 지역이라 할 수 있었으나 그래프 모양이나 통계적 해석에서 완전한 순환의 형국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부산ㆍ대구ㆍ광주ㆍ울산 지역은 주택경기가 순환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고 있어 HCM과 관련성이 없었다. 주택시장은 검증조건(지역, 분석기간, 자료유형)에 따라 경기 순환의 양상이 다르게 분석되고 있다. 현실적인 실증이 보완되기 전에는 HCM을 이용한 지역주택시장 전망을 신중하게 하여야 한다.

Honeycomb Cycle Model(HCM) is an economic model established by Janssen to explain changes made by circul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price and transaction volume and the model has been used for making prospective expectation of housing market, though the model does not reflect the actual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HCM circulation model while it applies to the 7 major cities of Korea. As per the results,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lthough it does not entirely match with HCM in terms of its graph and statistics, study areas such as Seoul, Incheon, Daejeon show a similar pattern. Whereas it is revealed that Busan, Daegu, Gwangju, and Ulsan do not have relations with HCM because the housing market in these regions have kept growing. The housing market cycles are distinctively observed under the different variables of verification such as region, analysis period and data source. In conclusion, expectation of prospective local housing market using HCM should be considerate in order to complement the HCM.

요약

ABSTRACT

1. 서론

2. 벌집순환모형

3. 선행연구와 순환검증의 필요성

4. 지역 주택시장의 순환 검증

5.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