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항공사진측량을 활용한 경계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Parcel Boundary Establishment by Using Aerial Photogrammetry(Focused on Rural Area)

  • 497
108310.jpg

이 논문에서는 항공사진측량방법에 의한 경계설정의 정확도를 지상측량방법과 비교 분석하여 향후 미래의 100년을 지탱할 한국적 지적제도를 창설하기 위한 지적재조사사업의 효율적인 경계설정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간해상도 5cm급의 초정밀 디지털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농촌지역의 주거지역과 농경지역에서 수치도화 방식으로 설정된 경계를 전자평판측량 방법에 의해 설정된 경계와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에서 요구하고 있는 검사 성과의 연결교차를 만족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주거지역과 농경지역의 정확도가 수치지역의 측량성과와 검사성과의 연결교차 허용범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지적재조사사업에서 항공사진측량을 주요 측량방법으로 하고 지상측량을 보조방법으로 활용하는 병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pproach a effective method of setting a boundary for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by comparing the accuracy of aerial photogrammetry with that of a field survey method, which will help establish the advanced Korean cadastral system. In this study, it is attempted to satisfy positional tolerance required by the cadastral survey law by using digital aerial photographs with high precision (within 5cm). For this, a boundary based on aerial photogrammetry in the territories of settlement area and arable land area (rural area) is compared and analyzed by that based on electronic pen table surveying method.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 it is represented that the accuracy based on aerial photogrammetry in the territories of settlement area and arable area satisfies the positional tolerance currently used in the numerical area. Consequently, it is proposed that aerial photogrammetry as a major approach shall most likely be utilized while the Cadastral Reform Project is implemented. A field survey as a supplementary approach shall be operated if only aerial photogrammetry can not be utilized.

요약

ABSTRACT

1. 서론

2. 경계설정의 이론적 배경

3. 자료취득을 위한 측량방법

4. 경계설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부록>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