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복합복구자립지수를 활용한 동일본대지진 피해지역의 평가와 특정

Measuring and Identifying on the Disaster Areas of Great East Japan Earthquake Using Index of Multiple Recovery Self-reliance

  • 251
108310.jpg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은 대지진과 쓰나미 그리고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유출을 포함한 일본 역사상 가장 큰 재난으로 기록되고 있다. 일본 동북지방 태평양 연안 500㎞이상의 피해지역은 재정적․인적 능력이 충분하지 못한 과소지역·한계집락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처럼 지역력이 부족한 피해지역의 경우, 복구·부흥계획의 수립과 그 집행과정에서 자립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맥락 하에 본 연구는 동일본대지진으로 인한 피해지역의 복구·부흥계획의 수립단계에 있어, 피해지역들의 복구의 자립정도를 진단하여 지역별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피해지역의 복구에 대한 자립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지표를 선정하였다. 둘째, 전체 지표의 표준화와 가중치방법을 통해 복합복구자립지수의 산출식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산술식을 이용하여 복구 자립성이 결여된 지역을 특정하였고, 복구․부흥계획의 수립에 있어서의 정책적 제언을 기술하였다.

On March 11, 2011,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triggered extremely destructive Tsunami and radioactive leaks caused by nuclear disaster- is written that it was the most powerful disaster in Japanese history. The affected areas were over 500㎞ in the Pacific coastline of northern Japan, and were included many depopulated and limited clusters with lack of finance and human resources. Like this, the areas with insufficiency of local power have a problem that self-reliance has markedly lowered when recovery and reconstruction programs are planned and executed. Based o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eliminary data based upon the degree of recovery by self-reliance in the affected areas when recovery and reconstruction programs are planned for the areas struck by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With this in mind, first of all, the indicators are selected to analyze the degree of recovery by self-reliance in the affected areas. Secondly, the calculation for index of multiple recovery self-reliance is drawn through normalization and weights. Thirdly, the area with lack of self-reliance is defined by the calculation, and lastly, the policy is proposed to set up the plan for recovery and reconstruction programs.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연구의 동향

3. 피해지역의 복합복구자립정도의 진단 기법

4. 피해지역별 복합복구자립지수의 분석

5.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