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의 사회적 위기는 전 지구적인 재정 실패의 가시적인 귀결이다. 이것은 또한 그간 감춰져 있던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의 뻔뻔스러움, 즉 극단적인 자기애의 태도를 겉으로 드러난 시장 조작의 오판에 뒤따라 발생한 하나의 도미노 효과이기도 하다. ‘진리 속의 사랑’ 회칙이 서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현대적인 인간은 자신들이 만물을 홀로 창조했다고 그릇되게 확신하고 있다. 그런 억측은 스스로에게 닫혀 있는 인간의 이기심에 기초한 것이다. 사회적 위기는 이른바 ‘형제애적 연대’라는 새로운 방향성과 새로운 방법을 통해서 치유될 수 있을 것이며, 그것은 바로 ‘진리 속의 사랑’ 회칙의 정수이기도 하다. 실제로 이 개념은 H. 플레스너, A. 겔렌, P. L. 버거가 입증한 바와 마찬가지로, 인간적인 존재가 되는 정상적인 방식, 즉 ‘지방분권적’ 발전의 방식이며, 레비나스가 보여준 바대로 모든 인간 존재를 향한 강력한 윤리적 호소가 되기도 한다. 핵심적인 사상은 “형제애, 경제 발전 그리고 시민 사회”라는 제목의 회칙 제 3부에서 발견된다. 교황 베네딕트 16세는 철저한 분석을 통해서 형제애적 연대가 인간적인 삶에 속하며 인간이 된다는 사실에 있어서 떼어낼 수 없는 부분이라는 결론을 설득력 있게 도출한다.
Today’s social crisis is a visible consequence of the global financial failure. It is also a domino effect following the miscalculation of hidden manipulations which unveil the very face of capitalistic ideology: an extremely narcissistic attitude. As the encyclical “Caritas in Veritate” describes it, the modern man is wrongly convinced that he is the sole author of everything. Such a presumption is based on his being selfish and closed in upon himelf. Social crisis can be cured through a new orientation and new way, namely through “fraternal solidarity”, which is also the heart of the encyclical “Caritas in Veritate”. That is in fact the normal way of being human, a “centrifugal” development, just as H. Plessner, A. Gehlen and P.L. Berger demonstrate and it becomes a strongly ethical appeal to all human beings, just as E. Levinas shows. The essential thought is found in the third part of the encyclical with the title: “Fraternity, Economic Development and Civil Society”. Pope Benedict XVI analyses thoroughly and concludes convincingly that fraternal solidarity belongs to human life and is an inseparable part of being a person.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Analysis of the Financial Crisis
Ⅲ. Anthropological Ground of Human Fraternity
Ⅳ. Fraternity as Humanization of Economic
Bibliogra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