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8427.jpg
KCI등재 학술저널

「초원담로」의 생명 사상

「椒園談老」的 生命 思想

  • 124

노자는 춘추시대의 제자백가와는 달리 덕목을 내세우지 않아야 도리어 세상이 평화롭게 되어 모든 것들이 자신의 생명을 아름답게 기를 수 있다고 역설했다. 이런 노자의 사상은 무위(無爲)라는 한마디 말로 요약되고, 그의 사상은 『노자(老子)』 또는 『도덕경(道德經)』이라는 책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후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후대로 수많은 학자들이 끊임없이 『도덕경』을 주석하였는데 다양한 『도덕경』 주석 중에서 위진시대의 천재 소년 왕필(王弼)의 『노자주(老子注)』가 노자의 사상을 가장 잘 드러냈다고 평가된다. 그런데 필자가 보기에 조선후기의 학자 이충익(李忠翊)의 『초원담로(椒園談老)』가 왕필의 『노자주』보다 노자의 사상을 훨씬 더 정교하고 간결하게 잘 드러내고 있다. 조선시대 때 이충익 외에는 대부분 유학의 시각으로 『도덕경』을 주석함으로써 원시유학의 덕목까지 부정하지는 못했다. 이충익은 노자의 시각으로 『도덕경』을 주석함으로써 당시의 통치이념인 성리학은 물론 원시유학까지도 모두 부정했다. 물론 여기에는 강화도를 기반으로 하는 독특한 집단의 학자들의 역할이 암암리에 작용했다. 필자가 보기에 이충익이 이처럼 통치이념을 전면적으로 부정할 수 있었던 것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무엇보다 자유로운 생명의 고양에 대한 강렬한 열정이 있었기 때문이다. 가문의 당쟁 패배로 어린 시절부터 겪은 혹독한 고초와 끝없는 좌절이 이념의 대립을 무화시키는 『도덕경』의 사상 속으로 그를 강하게 몰아넣었을 것이다. 그 결과 그는 왕필의 『노자주』보다 더 뛰어난 『도덕경』 주석서 『초원담로』를 탄생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在春秋時代, 諸子百家標榜各其道德規範, 而且主張用它來可以終熄當時的亂世. 但是老子與他們完全不一樣, 他强力主張我們不應該標榜所有道德規範, 才能成和平世界, 以能善養各自生命. 這樣的老子思想可略謂‘無爲’一詞, 其思想載於『老子』(一名『道德經』), 遠以影響到後代. 後來衆多硏究老子的學者, 對於『道德經』不斷的註疏, 而且許多人們讀其書. 其書可比西洋的基督徒『聖書』有名. 在『道德經』註疏中, 魏晉時代的天才王弼的『老子注』可謂最簡易標達老子的思想. 然我看來, 朝鮮末期的學者李忠翊的『椒園談老』, 可謂比於王弼的『老子注』更精巧的ㆍ更簡易的標達老子的思想. 在朝鮮時代, 有五種『道德經』註疏. 其成書都是爲了修正·補充或是否定當時統治理念的根幹卽朱子性理學之病弊的. 然而, 在五種『道德經』註疏中, 除了李忠翊的『椒園談老』以外, 都是從儒家的看法來註疏『道德經』的. 所以它們都是不能否定先秦儒家的道德規範. 而李忠翊是從道家的看法來註疏『道德經』的. 因此, 他旣能否定當時統治理念的根幹卽朱子性理學, 又否定了先秦儒家的道德規範. 在這樣的情況裏面, 他當然受到了世稱江華學派的隱然影響. 據我的硏究, 李忠翊所以能如此全面的否定當時統治理念者, 應有多方面的原因. 然而最根本的原因, 應是他對自由自在的生命的提高及强烈的熱情. 因爲他的家早就在黨派鬪爭中失敗了, 他從小經過了極甚的苦難和無限的挫折, 所以他强烈的仰望了把理念對立無效化的『道德經』思想. 因此, 李忠翊終於能做成比於王弼的『老子注』更高超的『道德經』註疏卽『椒園談老』.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생명의 훼손인 유위

Ⅲ. 생명의 고양인 무위

Ⅳ. 끝맺는 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