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 #당서
- #발해유민
- #정안국
- #상경용천부
- #박시형
- #이용범
- #진국
- #돌궐
- #대광현
- #동란국
- #고려사
- #거란
- #대광현의 고려망명
- # Tang-shi
- #Migrants of Bohai
- #Jong-An State
- #Sang-Kyong-Yong-Chon-Bu(Metro-politan Capital of Bohai)
- #Park
- #Si-Hyong
- #Lee
- #Yong-Bom
- #Jin-kuk(Jin State)
- #Dol-Kyol
- #Dae-Kwang-Hyon
- #Tong-ran-Kuk
- #Koryo-Sa(History of Koryo)
- #Kitan
- #Refuge of Dae-Kwang-Hyon of Koryo
초록
This article make Clear that the migrant of Bohai Dong-Ran State moved her Capital to Lao-Yang after collapse, it is an explanation of Late Bohai. The problems on the Late Bohai included the Tributary records, Capital Removal, and the refuge of prince Dae-Kwang-Hyon to Koryo. This essays will research following items. Firstly the tributar records to China in the Five dynasties was not fact for the Late Bohai. Secondary the age of transference of the Capital was after 925. Thirdly the refuge of prince Dae-Kwang-Hyon was not Connected with the downfall of Late Bohai. But I’ll want your advices and teaching for my inferences in my essays, duet shortage of historical materials. I expect my hope to help for Bohai’s Study.
목차
Ⅰ. 머리말
Ⅱ. 선행 연구
Ⅲ. 히노카이자부로(日野三開郞)의 〈후발해국〉
Ⅳ. 〈후발해국〉에 관한 사료 검토
Ⅴ. 맺음말
[Abstract]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31)
- 한국 사료에 나타난 고구려사 인식
- 고구려와 흉노의 친연성에 관한 연구
- 高句麗史에서의 國原城
- 발해 문화의 고려 전승
- 東아시아 都城制에서 高句麗 長安城
- 디지털복원에 의한 國內城과 廣開土太王陵의 再現
- 夫餘城郭의 特徵과 關防體系 硏究
- 將軍塚 被葬者에 대하여
- 高句麗 國內城의 試掘調査
- 일본 고대 문헌에 나타난 고구려상
- 고려 태조대의 대외정책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분주 재론
- 高句麗 太王陵의 主人公
- 中國의 渤海史 硏究
- “鮮”의 高麗와 “小山”의 馴鹿 연구
- 高句麗 長壽王代의 對宋外交와 그 意義
- 東アジア都城制における高句麗長安城
- 中國의 ‘東北工程’의 虛實
- 中華天下秩序中의 高句麗
- 중국학계가 보는 한반도 남북학계의 고구려연구(1)
- 〈후발해국〉의 존재여부에 대하여
- 高句麗와 新羅 기와 比較 硏究
- 高句麗 壁畵墳과 新羅 榮州地域 壁畵墳 比較 考察
- 高句麗ㆍ渤海史의 연구방법론
- 유적을 통해 본 발해건축의 독자성 연구
- 최근몇년래 조선사학계의 발해사관변화와 문제점
- 高句麗佛像이 日本佛像에 미친 영향
- 渤海文化の二重的特徴
- 북한이 본 고구려사
- 『日本の古代文獻に表れた高句麗像』
-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과 한국의 대응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