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인구의 주관적 음성문제와 직업 요인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General Population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 언어청각장애연구 제16권 제3호
-
2011.09360 - 371 (12 pages)
- 643

배경 및 목적: 많은 연구들에서 직업은 음성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고, 최근 단면연구에서 주관적 음성문제는 병인학적 음성장애의 독립적인 위험 지표로 보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학자료를 사용하여 근로자의 주관적 음성문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에서 건강설문조사와 이비인후검진을 모두 완료한 전국의 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4,601명(남 1,988명, 여 2,61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직업은 6차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직업에 따른 대상자의 특성 비교는 교차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사용하였고, 직업과 주관적 음성문제의 관련성 파악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제시하였다. 통제변수는 연령, 성, 교육수준, 소득 사분위수, 흡연여부, 음주빈도, 갑상선 장애 유병, 최근 2주동안 만성ㆍ급성 질환 및 사고ㆍ중독으로 인한 통증 및 불편감 여부를 사용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 4,601명의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은 6.0%였고, 서비스종사자(7.8%), 단순노무종사자(7.7%),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7.4%), 군인(6.9%), 관리자(6.2%) 등의 직업에서 주관적 음성문제 인지율이 평균보다 높았다. 현재 취업자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무직자, 학생, 주부 등의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비육체노동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1.7배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육체노동자의 경우에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최장 직업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모든 통제변수를 보정했을 때, 비경제활동인에 비해서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3.5배 더 높았고, 서비스 종사자는 주관적 음성문제의 위험이 약 2.7배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를 기준으로 직업을 구분했을 때,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서비스 종사자는 음성장애와 관련된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에도 주관적 음성문제의 잠재적 위험요인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음성문제의 위험이 높은 직업에 대한 음성 관리와 음성장애 예방을 위한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Considering the numerous studies on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mong professional voice users, it is clear that subjective voice complaints are currently quite comm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cross-sectional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in the South Korean adult population using national-survey data.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4,601 persons (1,988 male; 2,613 female) aged 19-60 in South Korea. Occupation was defin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 test, ANOV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voice problems was 6.0%. In the logistic-regression analyses of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 and self-reported voice problems, non-manual workers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OR=1.67, 95% CI: 1.23-2.26), but the opposite was true for manual workers. Adjusting for covariates, professionals (OR=3.51, 95% CI: 1.34-9.19) and service workers (OR=2.68, 95% CI: 1.02-7.06) were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elf-reported voice problems. Discussion & Conclusion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non-manual workers, particularly professionals and service workers, are at a higher risk of developing voice problems compared to other occupation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