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ㆍ북한 독립유공자녀 지원정책 비교를 통한 정부지원방안 연구
Comparative Study on Independence Patriot Honorable Treatment Support Policies of S.Korean and N.Korea -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of Charter School -
- 북한학회
- 북한학보
- 北韓學報 第36輯 2號
-
2011.1240 - 71 (32 pages)
- 138

이 연구의 목적은 조국을 위해 헌신했던 독립유공자 대안적 지원정책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독립유공자의 애국정신은 높게 평가받아야 하면 그들에 대한 대우가 국가통합과 관련되어 있다는 문제를 생각해 봐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남북한 독립유공자 우대정책을 비교하고 그 가운데 유자녀정책에 관한 문제를 집중적으로 조망하겠다. 북한은 현재 대안학교 형태의 혁명학원을 운영 유지하면서 끊임없이 국가에 충성하는 인재들을 육성해 왔던 반면 우리는 그렇지 못하고 오히려 형식적 지원에 그쳐왔다. 이에 자립학교형태의 유공자녀 학교를 설립하고 그들에 대한 지원 및 육성을 체계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상징정책으로써 독립유공활동이 갖는 의미를 다시끔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lternatives for the patriot, who devoting oneself to country. Honorable treatment and compensation to Patriots who devote themselves to country, is not anly appreciation their patriot-spirit but make practice function of nation unification. The unstable of the Patriot’s life, however, has been undermining the shift of paradigm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In this regards, a necessity of the Patriot support policy was raised, and it secures a justification for the government support to the Patriot in terms of symbolic policy aspect. This study compares the patriot support policies in S. Korea and N. Korea. It also examine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of both, and explores ways to improve S. Korean independence patriot honorable treatment support policy. This study focused on educational policies especially establishment of Charter School.
〈논문요약〉
Ⅰ. 서론
Ⅱ. 남북한 독립유공자의 정의 비교
Ⅲ. 북한의 혁명학원과 그 운영정책
Ⅳ. 독립유공자녀의 자율학교 운영방향
Ⅴ. 결론 : 기대효과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