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百濟 泗沘期 寺刹의 伽藍配置와 造營의 特徵

On the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 2,288
108948.jpg

이 글에서는 백제 사비기 도성의 주요 시설인 사찰에 대한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개괄하고 이로부터 가람배치와 건축에 관한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추출한 다음에 좀 더 연구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어떤 과제가 있는지 제시해 보았다. 사비기 사찰은 중문, 목탑, 금당, 강당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강당 및 금당 좌우측의 폭 넓은 동ㆍ서 건물(승방)과 그 남쪽에 회랑이 접속하는 가람배치가 일반적이다. 그중에서도 회랑 및 동ㆍ서 건물의 배치 형태는 중국과 일본은 물론이고 고구려와 신라에서도 보이지 않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부여와 익산에 있는 여러 사찰의 가람배치에서 이러한 일반성을 보이는 것은 가람의 조영에 국가적인 수준에서 일정한 기준이 적용되었음을 시사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강당 및 금당 좌우측의 폭 넓은 동ㆍ서 건물과 그 남쪽에 회랑이 접속하는 가람 배치는 능산리사지 2차건축군이 들어서는 시점에 나타나 왕흥사가 축조되는 6세기 4/4분기 초기부터는 정형화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강당과 그 주변의 동ㆍ서 건물 등의 배치관계로 볼 때 정림사지의 사비 천도 전후 조영설은 재검토의 여지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掘壙 基部 및 달구질에 의한 기단 축조, 瓦積基壇, ‘積心土’, ‘土木混合式一堂多室建物’도 사비기 백제의 독특한 건축 기술로 신라나 일본에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백제 사비기 사찰의 진면목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부여 외곽, 공주, 익산 등에 남아 있는 백제 사찰에 대한 기초적인 조사, 기존에 일부 조사가 이루어진 부여 금강사지ㆍ용정리사지 등에 대한 재조사나 재검토, 그리고 동아시아 차원에서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attempted the summary of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temples of Baekje Sabi period, the extraction of several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n suggested several urgent problem. The building layout of the temple of Baekje Sabi period was different from Silla(新羅), Wa(倭) etc. Specially the shape and connection of corridor and it’s northern dorter is unique. The building layout of the temple in Buyeo(扶餘), Iksan(益山) is universal. It represents the powerful royal authority. The this Sabi style temple appeared mid-6th century. This new perspective on the building layout of the temple of Baekje Sabi period requires further research on the already excavated temple sites. The stylobate decorated with roof tiles, tramped substructure under the foundation stone, multiple room with mud plastered wall in a building, deep bed excavation is Baekje’s uniqu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d Silla, Wa. But there are so many assignments accumulated that we need to work on, for example, fundamental survey on the Baekje temples, and re-excavation of the temples excavated long time ago, and systematic synthesis of archaeological records.

요약

Ⅰ. 머리말

Ⅱ. 최근의 조사 성과 및 가람배치에 대한 새로운 인식

Ⅲ. 사찰 조영의 몇 가지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