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Retired Employees and Transformative Learning Level in Outplacement Service on Employability

  • 1,324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적 소홀했던 퇴직자의 전환학습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기반을 제공하고, 전환학습과 고용가능성을 연계하여 효과적인 퇴직자의 전직지원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전직지원활동에 참여한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과 고용가능성을 측정하고, 퇴직자의 특성과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전환학습 수준 측정도구와 Johnson(2001)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소재하는 전직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전직지원프로그램에 참여한 퇴직자 200명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퇴직자의 특성 중 연령, 성별, 전문성, 경제력 수준, 경력기간이 전직지원활동의 전환학습 수준과 고용가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의 5개 영역 중 사회ㆍ언어적 영역, 심리적 영역, 인식론적 영역 순으로 고용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첫째, 퇴직자의 특성이 전직지원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퇴직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직지원 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하며, 둘째,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이 고용가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므로 퇴직자의 전환학습 수준을 높여주는 전직지원프로그램을 설계해야 한다는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전직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empirical data related on retired employees’ transformative learning and research clues for design of effective outplacement program by linking transformative learning and employability. To explain research questions, we measured the lev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 outplacement service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retired employees and lev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affect employability. For this study, we established a questionnaire to measure lev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used a questionnaire designed by Johnson (2001) to measure the level of employability. 200 picec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outplcement service centers located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ge, gender, expertise, economic power, career period among retired employees’ characteristics affect lev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and employability in outplacement service. Second, in order of sociolinguistic, psychological, epistemic habits of mind of transformative learning influence on the degree of employability significantly. Based on these results, we draw some implications. First, retired employees’ characteristics impact on outplacement service, those of characteristics should be reflected in outplacement program. Second, we found that level of retired employees’ transformative learning affects employability. It means outplacement programs should be designed towards enhancing the level of transformative learning. We expect that this study should be used as preliminary research material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outplacment program.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