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에 따른 골밀도 예측인자의 차이
The Difference of Predictor of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방사선기술과학
- 방사선기술과학 제34권 제3호
-
2011.09195 - 201 (7 pages)
- 77

이 연구는 폐경 전ㆍ후 여성의 요추골밀도의 예측인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총 483명의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체성분, 지질, 혈압, 골밀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폐경 전 집단의 수축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폐경 후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제지방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폐경 후집단의 골밀도는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수준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를 알아본 결과 폐경 전 집단은 체중, 체지방율,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으며, 폐경 후 집단은 체중, 연령,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on parameters and bone mineral density for pre-and-post menopausal women. We measured BMI %Fat by BIA, blood pressure and lipid profiles for 483 adult women who are in NPO state. SBP, TC, TG, LDL have significant statistical value in the postmenopause women group and postmenopause woman. The value of postmenopause women of these parameters are lower than premenopause woman. BMD has the most strongest relationship with LBM. The BMD and LDL level of postmenopause women have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premenopause cases, weight, BF, and HDL level were the major factors which affect the BMD. For postmenopause cases, however, weight, age, and LDL level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