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Subject of Religion
종교의 주제/주체
-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 신학과철학
- 신학과 철학 제19호
- : KCI등재
- 2011.11
- 123 - 147 (25 pages)
종교가 어떤 의미에서 단일한 주체라는 것은 의례적이며 윤리적인 종교 체제들로서의 여러 특정 종교들의 다양성을 포괄하는 그 용어의 사용에 의하여 입증된다. 그러나 그것은 각각의 개별 종교가 자신이 “참된 종교”를 구성한다고 하거나 혹은 “종교에 있어서의 진리”를 제공한다고 하는 주장을 결국에는 거부하며, 이는 모든 특정한 종교의 구조적 필요요건인 것처럼 보인다. 자끄 데리다의 논의대로 이야기하면, 그것은 모든 종교가 종교인 한에서 주장해야만 하는 진리에 대한 소명이 (손상당하지 않은 채 유지된 생명으로 이해된) 거룩한 것에 대한 신앙이 가지는 소명의 일부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데리다는 종교의 개념 안에서 몇몇 유보적인 요소들을 발견한다. 하지만 그들은 일반적인 주체로서의 종교와 특정한 종교들 안에서 만나는 그것의 구체적인 예시들 사이의 구분을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이는 서로 상충하는 요청들의 화해 불가능성 때문에 해체되고 거룩한 타자의 충만한 희생적인 침입을 허용하는 데에 구조적으로 방향 지어진, 그러기에 아직 앞으로 올 종교 안에서 - 예배자이며 또한 ‘잃음 안의 주체’로서의 - 각각의 필연적으로 특정한 종교를 입증하는 것이 된다.
That religion is in one sense a single subject, is attested by the use of the term to encompass a diversity of particular religions, as cultic and moral religious systems. Yet it appears as a structural requirement of every particular religion that, in the end, it disqualifies the claim of each other religion to constituting “true religion” or to providing “truth in religion.” In terms broached by Jacques Derrida, it can be seen that the vocation to truth which every religion as such must claim, is part of a vocation to faith in the holy, understood as life preserved unscathed. However, Derrida identifies several hesitations within the concept of religion. These can be harnessed to a distinction, between religion as a general subject and the instantiations of that subject met in particular religions, to demonstrate each necessarily particular religion, as also each worshipper, as a subject-in-loss, deconstructed in view of the irreconcilability of opposing exigencies, and structurally oriented to allowing the holy other’s full sacrificial incursion, in a religion yet to come.
1. Introduction
2. First Hesitation in Self-identicality
3. Second Hesitation in Self-identicality
4. Considering the Subject of Religion
5. Originary Religion
6. Conclusion
Bibliography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