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 지시사의 의미를 지시사가 가리키는 대상 그 자체로 이해하려는 전통적인 입장(Kaplan 1977)으로는 변항적 성격을 보이는 지시사의 용례들을 설명하지 못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여 King(2001)은 지시사를 양화사로 분석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언어학에서 가정하는 양화사의 정의 및 특성에 근거하여 복합지시사가 양화사로 분석될 수 없음을 보이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한다. 단순지시사(that)와 복합지시사(that girl) 모두를 의미적으로 〈et,e〉 유형을 가진 한정사(determiner)로 분류하고, 유일성 전제를 통해 the와 that을 구분한다. 통사적 환경에 따라 자유변항과 결속변항의 두 가지 성격을 보일 수 있는 대명사와 마찬가지로, 지시사구의 의미를 결정하는 것도 통사적 환경에 있음을 제안한다.
1. Introduction
2. King (2001): Complex Demonstratives as Quantifiers
3. What Counts as a Quantifier?
4. Proposal
5. Other Issues
6.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