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9092.jpg
KCI등재 학술저널

칠석마을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

Continuity and Change of the Chilseok Village Community

  • 94

지금까지 칠석마을의 공동체의 지속과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마을 공동체를 비롯해서 마을공동체의 하위 조직인 소규모공동체를 점검하여 그 실상을 파악하고, 공동체의 변형과 통합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를 확인하고자 했다. 마을 단위의 공동체는 마을총회, 큰상부계, 수리계, 작목반 등을 들 수 있고, 보다 규모가 작은 공동체로는 부녀회, 노인회, 청년회, 위친계, 죽령계, 옻돌계 등을 들 수 있다. 공동체 구성원의 범위에 따라 마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공동체는 상부계와 수리계(작목반)로, 소규모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공동체로 위친계와 죽령계 및 옻돌계로 나누어지고, 죽음과 관계된 공동체는 상부계와 위친계로, 삶과 관계된 공동체는 마을의 공식적인 조직을 비롯하여 수리계와 작목반으로 나누어진다. 마을의 공동체는 개별적으로 독립되어 있기도 하지만 한편으론 소규모공동체와 서로 상보적 관계를 유지하기도 한다. 마을총회, 노인회, 부녀회, 청년회가 모두가 서로 협력해서 마을의 행사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상촌마을의 죽령계나 하촌마을의 옻돌계는 마을 간의 경쟁적인 구도를 형성하기도 하지만, 마을총회를 통해 칠석마을공동체라는 통합을 이루기도 한다는 점에서 그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의 구심력적이고 원심력적인 관계는 공동체사회에서 개인보다는 집단의 가치를 중요시하고, 개인주의 보다는 협동 정신을 중요시하여 공동체 의식을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공동체성의 구현으로 상부계는 죽음의 소식을 알리는 역할, 상여운구, 매장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당산제의 제사공동체는 마을사람들의 종교적 심의를 반영하여 사제자로서 역할을 충실히 이행한다. 그리고 놀이공동체는 놀이가 연행될 때만 잠시 구성되었다가 놀이가 끝나면 해체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고싸움놀이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놀이공동체가 제도화된 조직에 의해 대체되었다. 고싸움놀이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당시와 비교해 보면 40년 후인 2011년도에 이르러 32호 감소하였고, 인구는 남자가 354명(39%), 여자가 418명(36%) 모두 772명(37%) 감소하였다. 그리고 1980년 말 수입개방이 확대됨에 따라 국내 농업기반이 위협받게 되었고, 농가의 영농의욕 상실과 불안감이 확대되었다. 칠석마을에도 여타의 농촌마을처럼 인구 감소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고 있고, 마을의 생업구조에도 변화가 일으키며 칠석마을의 공동체 변화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 변화 양상을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임시결사체인 제사공동체와 놀이공동체가 고싸움놀이 보존회로 조직화되고, 공동체의 성격도 변화되고 있다. 즉 종전에는 자율성을 기반으로 구성원과 공동체가 서로 상보적 관계에서 공동체성을 구현하였다면, 오늘날은 상보적 관계보다는 보존회가 지시하고 피동적 차원에서 공동체성을 재현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가 하면 공동체의 성격도 다소 변화되고 있는데, 놀이공동체는 유희적 생산과 소비를 병행해왔다면, 보존회는 소비보다는 생산에 치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두 번째 마을총회의 역할이 고싸움놀이 보존회로 이동하거나 통합되고 있다. 오늘날의 대공사에서도 수리계에 관련된 일들이 우선순위에서 여전히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지만, 전체적인 내용에서는 수리계의 일보다는 고싸움놀이에 관련된 사항들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수리계와 관련된 일이나 마을총회에서 다루어야 할 안건이 자연스럽게 고싸움놀이 보존회 중심으로 이동해 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보존회가 단순히 고싸움놀이의 전승집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마을공동체의 새로운 정치집단이요 경제집단으로서 역할을 수행해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 소규모공동체인 청년회의가 보존회에 종속되어가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네 번째로 마을의 대내외적인 결속 구조로서 고싸움놀이보존회 위상이 강화되고 있지만, 마을 인구 감소와 노령화로 인해 보존회 역시 변화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다섯 번째 마을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소규모공동체가 축소되고 있지만, 2010년도에 상촌마을의 화합계가 결성되기도 했다.

Of the community in town General Meeting of Village, Keunsangbugye, Surigye, Jakmokban, and the like, smaller than in the community, Women’s association, Senior Citizens Association, Young adult group, Wichingye Jukryeonggye, Otdolgye and the like. Death and related community wichingye and sangbugye, Associated with life in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formal organization Surigye, consists jakmokban. Is independent of the village community are individually too, but on the other hand a small community and maintain a relationship may b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Centripetal and centrifugal forces of the village community relations Groups of individuals in the community than the critical value, and Emphasis on individualism rather than the spirit of cooperation to reinforce the sense of community plays a role. Chilseok-village like any other rural town undergoing major changes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town’s livelihood because of changes in the community is affecting quite a while. Some aspects of the changes can be summarized as. First, a temporary organization, memorial service community and fun community organized by the Gossaumnolyi Preservation Society, and also change the nature of the community. Second, General Meeting of Village gossaumnolyi Preservation Society moved to the role or be integrated. Third, a small community, Young adult group tended to depend on the Preservation Society will also appear. Fourth, the town is a structur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hesion Gossaumnolyi Preservation Society phase is being strengthened, The village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Preservation is also undergoing changes. Fifth, the town’s small community is shrinking due to the aging population, but In 2010 the newly formed hwahapgye in Sangchon-town had been.

【국문초록】

1. 머리말

2. 칠석마을의 역사문화적인 배경

3. 칠석마을 공동체의 실상과 기능

4. 집단의식으로서 공동체성(共同體性) 구현

5. 칠석마을마을 공동체의 역학관계와 변화

6.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