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대학의 변화와 청년실업 문제
The Change of University and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Russia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13권 제2호
-
2011.12297 - 334 (38 pages)
- 454

러시아 대학은 생존전략을 강구하기 위한 변화의 물결에 직면하고 있다. 고등교육 개혁은 대학이 사회적 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 자생력을 길러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은 엄청난 양적 성장을 하지만 질적 개선은 그에 따르지 못하고 있다. 물질적 기반의 질적 저하에 따라 대학의 역량은 급격히 떨어지고 새로운 사회에 적응해야 할 대학인은 매우 힘들게 살아간다.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과 연구에 매진해야 할 교강사들은 박봉에 시달리면서 또 다른 벌이에 눈을 돌리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가 요구하는 교육과정의 혁신이 이뤄지지 못하는 가운데, 졸업생 전문가들의 질적 수준과 사회 적응력 또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결국 청년실업을 초래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대학이 제공해주는 셈이 된다. 본고는 이러한 러시아 대학의 현실을 조망해봄으로써 청년실업의 구조적 문제와 그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다. 대학의 팽창과 기능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졸업생의 진로가 불투명한 청년실업 문제가 왜 발생하는 것일까? 노동시장에서 졸업생의 전공이 일치하는 않는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을 비롯하여, 군복무라는 특수한 환경, 고학력 여성들의 차별, 청년들의 취업에 대한 의식 문제 등 많은 요인이 제시된다. 대학교육 개선을 통한 청년실업 해소방안으로 가장 먼저 대학 당국의 인식 전환과 추진력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의 입장에서 필요한 교육을 해야 할 교수들의 역량과 자질 함양, 대학 내 취업지원센터와 학과의 유기적인 협조, 다양한 진로를 개척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의 실업을 해소하는데 전 사회가 노력해야 할 것이다.
Russian universities are facing a wave of change to take a survival strategy. Higher education reform demands that university should be dedicated to its role as a social institution and raised viability to adapt to the capitalist society. As a result, a huge quantitative growth of universities is shown, but quality improvements have not been able to follow it. According to the penalty based on the quality of the material, the university’s ability is dropped suddenly, and the university members to adapt to a new community are very hard living. The professors and lecturers should be focused on a side job to tide of meager salaries instead of nurturing talents for the education and research. In the process of no innovation of the educational course that the changing age requires, quality of graduate professionals and social adaptability have also become a serious problem. Eventually the responsibility for the root causes that lead to youth unemployment lies with the university. This paper deals with structural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and their solutions by looking for the reality of the Russian university. Despite of the expansion of functions of the university, why does occur the problems of youth unemployment that graduates are faced with uncertain future? In the labor market an imbalance of supply and demand for graduates’ mismatched majors, a special environment of military service, sex discrimination in employment, awareness of young people about employment and many factors are presented. To solve these problems through improving university education, first of all, a mind change of the university authorities and its driving force are required. In addition, a cultivation of the competency and qualifications of professors to train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s, an intimate cooperation between the faculty and the university’s Department of Employment and Support Center, and an exploiting a variety of career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ograms should be practiced. Finally, all society as well as the university members should strive to find a way out of youth unemployment.
〈국문 개요〉
Ⅰ. 들어가는 말
Ⅱ. 청년실업과 대학교육의 상관관계
Ⅲ. 러시아 대학현장의 변화양상
Ⅳ. 청년실업과 그 대책
Ⅴ.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