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혼례 속에 담긴 문화적 요소와 그 의미를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Ⅱ장 혼례의 변천과정에서는 한국 혼례의 역사적인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혼인문화의 경우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변화되었기 때문이다. Ⅲ장 혼인문화 속에 담긴 문화적 요소에서는 의례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제도문화로 나눈 후, 그 속에 담긴 역사적인 현상과 의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의례문화의 경우 혼례과정과 그 절차에 주목하였고, 언어문화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전문 어휘들을 정리함과 동시에 속담 속에 담긴 혼인관련 표현들과 그 사용법들에 대해 다루었다. 정신문화에서는 혼인문화속에 담긴 유교사상의 의미와 가치체계 그리고 음양오행 사상의 영향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도문화에서는『대명률』과 『경국대전』등 조선시대 법전 속에 담긴 혼인관련 요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Ⅳ장 혼례를 활용한 교육방안 연구에서는 Ⅱ,Ⅲ장에서 살펴본 여러 문화요소들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 방안에 대해 현대의 학습자들이 영상자료에 익숙한 세대인 점을 감안하여 그림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의미론적 접근방안에 서는 ‘어떤 현상이 존재하였다’보다 ‘어떤 의미가 담겨있다'에 주목하였으며, 학제간 융합 교육 방안에서는 역사적 학문과 민속학 그리고 언어학 등이 융합 적으로 교육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문화적인 교육 방안에서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혼인문화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화 충돌현상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한국문화를 쉽게 수용하도록 하기 위해 주변국 혼인문화를 비교하여 습득하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meaning in Korean marriage custom and the educational methods. In the chapter Ⅱ, this study examined historical changing procedures of Korean marriage custom. It is about the changing procedures of Korean traditional marriage custom which was changed from Seoryubuga(Korean traditional marriage custom) to Chinyeongjae(Chinese marriage custom). I wrote about changed custom and linguistic elements during the process in this article. In the chapter Ⅲ, this study divided cultural elements in ritual custom, linguistic custom, mental custom, institutional custom. And it examined historical phenomenon and the meanings of them. In the chapter Ⅳ, ‘study of educational methods which utilized marriage’, this study suggested educational methods by using pictures which considered that modern learners are accustomed to images. The study attentioned more about 'which it means' than about ‘which phenomenon was existed' in the semantic approach. It mentioned that historical learning, folklore and linguistics should be educated amalgamatively in the educational methods about school systems.
Ⅰ. 머리말
Ⅱ. 혼례 변천 과정
Ⅲ. 혼례 속에 담긴 한국문화 요소들
Ⅳ. 문화 요소들을 토대로 한 한국문화 교육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