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치사진측량에 의한 지표문화재의 3차원 해석 및 모델링
Analysis and Modelling of Surface Cultural Heritage by Digital Photogrammetry
- 한국지적학회
- 한국지적학회지
- 韓國地籍學會誌 第27卷 第2號
-
2011.12115 - 124 (10 pages)
- 266

문화재 지표조사는 대상 지역의 대규모 개발 이전에 해당지역에 대한 사전조사를 실행함으로써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매장문화재에 대한 대략적인 분포와 해당 유적의 범위와 성격을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연구 방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지표조사의 결과를 단순히 종이지도에 표시하여 유적의 위치표시 외에 유적의 입지분석, 성격파악 등 부가적인 활용에 어느 정도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화재 측량 및 문화재 도면제작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치사진측량기법을 적용하여 지표문화재에 대한 3차원 모델링을 실시하여 정확한 유적 위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치사진측량 기법에 의한 3차원 공간오차가 5.32mm로 양호한 결과로 산출되었으며, RTK GPS 측량과 부피량을 비교한 결과, 상대정확도가 2.1%로 산출되어 양호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서 비접촉식 측량기법인 수치사진 측량기법이 문화재 지표조사에 상당히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ultural heritage field survey is one of the important research methods that can estimate the approximate distribution, the range and the features of the archaeological site on the buried cultural heritage distributed in the area by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on the appropriate area before a large scale development of the targeted area. However,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has only been plotted on the paper map. Therefore,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because of the limitation to the additional use such as the location analysis and feature understanding of the archaeological site except for the position display. Thus, in this study, it has been able to confirm the accurate archaeological site location by performing three dimensional modeling on the ground cultural heritage and applying digital photogrammetry to solve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survey and drawing making of the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also suggested a method to obtain specific and accurat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error by digital photogrammetry got a positive result, 5.32 ㎜.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urvey and volume of RTK GPS, the relative accuracy was calculated 2.1 percent and it showed a positive result. Therefore, it was able to confirm that digital photogrammetry, a non contact measurement method, was quite useful for Cultural heritage field survey. In addition, the three dimensional space error by digital photogrammetry got a positive result, 5.32㎜.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survey and volume of RTK GPS, the relative accuracy was calculated 2.1 percent and it showed a positive result. Therefore, it was able to confirm that digital photogrammetry, a non contact measurement method, was quite useful for Cultural heritage field survey.
요약
ABSTRACT
1. 서론
2. 문화재 조사 방법과 카메라 Calibration
3. 촬영시스템 및 실험
4. 자료처리 및 모델링
5. 분석
6. 결론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