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9438.jpg
KCI등재 학술저널

淸初 柳條邊墙의 건축과 그 역할

The Construction and itś Role of the Lyujo Border-fence in early Ching dynasty

  • 202

柳條邊墻은 명나라때 만든 遼東邊墻을 이용하여 만든 국경선과 관계없는 漢族의 만주진입을 막기위한 것이지만 봉급지역과 중첩됨으로서 조․중간에 정치적 문제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청은 유조변장을 경계로 만주지역의 한인출입이 금지됨으로서 이지역의 경제적 개발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게 되었음이 주목할 일이어서 그후 조선족의 越境이 불가피하였음은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봉금정책의 추진동기는 ①滿族과 몽고족의 경제적 이익의 보호 ②만족의 고유습속유지(한족의 영향축소) ③민족의 격리정책의 확보 등으로 설명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조변장의 건축과정은 요동변장(1천㎞ : 서쪽은 山海關~ 압록강변의 臺堡)을 토대로 老邊(盛京境內: 975㎞)과 新邊(吉林경내 : 343㎞)의 축성으로 이룩되었다. 그리고 그 건축방법은 버들가지로 경계를 표시하였으며, 요충지 마다 邊門을 세워 두었다. 여기서 주못할 것은 이러한 봉금정책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유역에 대한 무인지대 문제가 한중간의 이견이 노출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대해 청과 조선정부는 이지역을 공간으로 남겨 놓았으나, 청나라는 국경선으로 인정하지 않았으며 조선측은 두강이북으로 국경선을 비정하면서 봉금지역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본고는 중국측 입장에서 서술되었음으로 이에 대한 한국측 반론을 기대한다.

I introduced the reasons and process of Lyujo Border-fence and the off-limit policy at the Mancharia in Ching dynasty. At the same time, the relationships with the Lyujo Border-fence and the uninhabited region at the Yalu river ereas was the object of this article. And the grave concern of Ching government toward this region were the main theme of this studies. The Ching government carried out the uninhabited policy to the Manchuria that is the cradle of Manchurians. This object was the preventive measure of Chinese infiltration at this regions. This Lyujo Border-fence continued the Ming government's Lyautung Border-fence schedules. It was organized two sides by Robyon(old belt) and shinbyon(new belt) from Bongwhang fortress to the on the lower Yalu ereas with 6 gates. As the river valley of Yalu and Tuman rivers were the a part of uninhabited region and abundant produce zone, some scholar insisted the portion of Lyujo Border-fence as the border-line between China and Korea But the uninhabited region was not the boundary line by Ching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of Lyujo Border-fence is the a part of off-limit east-northern China. In spite of the Lyujo Border-fence is the uninhabited region, the Ching government is not recognized border-line. policy and it's purpose is the protection of privilege of Manchurians in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柳條邊&#22681;을 설치한 원인

Ⅲ. 柳條邊&#22681;의 건축 과정

Ⅳ. 柳條邊&#22681;과 두만강, 압록강유역에 대한 봉금

Ⅴ.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