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위키피디아에서 ‘저명성(notability)’이라는 규범적 자원을 둘러싼 편집 논쟁을 통해 위키피디아 내 규범적 자원을 해석하는 경합에 참여하기 위한 ‘지식-주체’의양태 및 구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위키피디아 내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논쟁은 규범적 자원을 해석하고 그 해석에 대한 인정을 구하는 과정 속에서 그 행위 능력이 상이한 주체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위키피디아를 ‘집단 지성’으로 파악하던 초기 관점이 기초했던 기능주의적 행위자 모델은 이런 차이를 이해하는데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위키피디아에서 이루어지는 편집 논쟁 중 특정 콘텐츠가 독립된 항목으로 존재할 가치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저명성’이란 규범적 자원을 둘러싼 논쟁을 다루며, 구체적으로는 첫째, 인물의 ‘저명성’을 주장 혹은 반증하기 위한 과정에서 사용되는 구체적인 레퍼토리들을 검토하고, 둘째, ‘저명성’의 제도적 양태를 규정하기 위한 위키피디아 내 논쟁을 분석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키피디아 저명성 논쟁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행위자들 사이의 어떠한 구분을 만들어내는지를 파악한다.
Using a series of debate on ‘Notability’ in Korean Wikipedia, this article is for making explicit the way how actors in Wikipedia contest for interpretation on a certain normative resource, and for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pretation contest and construction of ‘Knolwedge-subject’ in Wikipedia. Editorial Debates in Wikipedia consist of continuous negotiations about what is adequate ‘virtue’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Each individual participant differs in terms of how he or she deals with such questions, and how the members of Wikipedia grant legitimacy to his or her way to deal with those. Functionalistic actor-model from the initial expectation on Wikipedia as ‘collective intelligence’ could not pinpoint this difference exactly, so this article intends to criticize previous functionalistic model and suggests alternative. For this regard, this article carried on analysis about a series of debate on ‘Notability’ is mainly for deciding whether a specific content has a legitimacy and value to exist as an independent single article. Most of all, the analysis focused on what kind of ‘Repertories’ were used to insist on or to deny notability, and, secondly, on the level of institutional modality of the normative resource. Finally, the article tries to demonstrate how these findings gives the way to define and classify the knowledge-subject in Wikipedia.
1. 문제제기
2. 위키피디아와 지식-주체의 문제
3. 연구 설계
4. 한국어판 위키피디아와 저명성 논쟁
5. 나가며
참고 문헌
부록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