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근무성적평정 결과의 공개가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603
109517.jpg

정부조직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 중 특히 인적자원의 중요성을 더욱 증대시켰으며, 정부의 성패는 곧 어떤 인재를 어떻게 확보하고 발전시키며 유지 관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정보기술과 경영 혁신에 따른 인적자원의 능력발전이 더욱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인적자원의 능력을 개발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지만, 이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개인 성과관리제도 중 하나인 근무성적평정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근무성적평정이란 조직구성원의 개인적 능력과 가치 그리고 근무 성적을 평가하는 것이며 인사행정의 기준을 제공해주고, 구성원의 능력을 발전시키며, 근무 능률의 향상 및 의사 전달을 개선시키며, 시험의 타당도 측정에 대한 기준을 제공해 준다. 구성원의 근무 실적과 직무 수행 능력을 측정하여 인사에 반영하는 근무성적 평정제도는 피평정자의 동기 유발을 통하여 조직 전체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평정결과는 보수 승진 배치전환 교육훈련 등의 인사행정에 반영된다.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 제 21조 제 1항에 의해 평가자는 근무성 적평정 결과에 대하여 대상 공무원 본인에게 공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근무성적평정 결과를 구성원에게 공개할 때, 근무성적 평정 공개내용에 대한 구성원의 반응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 또한 공개내용이 구성원의 업적, 만족도, 자기계발에 얼마나 영향을미치는가를 조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정부조직 구성원 중 적어도 1회 이상 근무성적평정결과의 공개를 경험한 자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근무성적 평정결과의 공개가 구성원의 업적과 만족, 자기계발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근무성적평정 결과 공개의 당위성을 조사해 보고,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효율적 이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조사 방법

Ⅳ. 연구가설의 실증적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