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09623.jpg
KCI등재 학술저널

Life as Universal Value

생명의 보편적 가치: 인도의 생태학적 관점

  • 27

우리 사회의 많은 사람들은 인간의 생명이 짐승과 같은 다른 유형 생명보다 더 존엄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러한 신념은 진화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반면에 교황 바오로 2세는 우리가 모든 생명을 중요하게 여기지만 인간 생명의 보존에 더 큰 중요성을 두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모든 인간, 특히 그리스도교인들은 인간 생명의 숭고함을 믿는다. 그리스도교인들은 모든 인간이 하느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창조되었다고 믿는다(창세기 1:26,‐27).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믿음은 피임, 낙태, 유전자 조작, 배아 기술, 안락사, 자살 그리고 생명 유지에 대한 그들의 모든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 인간들은 오늘날 가장 큰 위기, 즉 생존의 위기를 맞고 있다. 이번 천년기 안으로 다른 모든 생명체들과 더불어 인간 종의 생존을 위협에 빠뜨리는 거대한 규모의 환경적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이러한 종말론적 예언은 걱정하는 모든 이들이 즉각적이고도 협응된 행동을 취할 것을 요구한다. 오늘날 우리는 기로에 서있다. 지구상의 모든 생명의 생존을 위해 안정적이고 조화로운 환경을 이루려면 인류의 신속한 행동 변화가 요청된다.

Some people argue that human life is valuable simply because it is human, but immediately the question arises about why human life should be valued more than other types of life. There are many in our society who believe that human life is no more valuable than any other type of animal life. The foundation of this belief is an evolutionary philosophy. Pope John Paul II was of the opinion that while we consider all life important, we need to give greater importance to the preservation of human life. All human beings, especially Christians, believe in the sanctity of human life. Christians believe that all human beings are created in the image and likeness of God (Gen 1:26-27). Their belief in the sanctity of life should influence their decisions on contraception, abortion, genetic engineering, embryo technology, euthanasia, suicide and life support. Human beings are facing today the biggest crisis ever, i.e. survival. There is an ecological crisis of gigantic proportions looming across the horizon endangering the very survival of the human species together with all other life forms within this millennium. This dooms–day prediction calls for immediate and concerted action from all concerned. We stand at the crossroads today. We need to provoke the conscience of humanity to radical action for a sustainable and harmonious environment for the very survival of all life-forms on this planet.

Abstract

Ⅰ. ECOLOGY

Ⅱ. A Cosmic Covenant of Love

Ⅲ. Cosmos as Extended Family

Ⅳ. Eco-Feminism

Ⅴ. VALUE OF LIFE

Ⅵ. Abortion

Ⅶ. The Right to Life

Ⅷ. Jesus: The Promoter of Life

Ⅸ. Conclusion

Bibliography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