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은 오늘날 한국 교회의 윤리적ㆍ미학적 실패의 원인을 되짚어보고, 혹자가 ‘신의 무덤’이라고까지 비판한 한국 교회가 생명의 산실로 회복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교회가 ‘마이너스 프리미엄’ 상태에 놓이기까지 추한 대상으로 전락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제도화 과정에서 체제 정비의 실천적 근거로 유교적 가부장주의를 채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더욱이 분단 상황으로 인한 군사문화의 편재 속에서 남성우월주의와 무력숭배에 편승한 나머지, 한국 교회는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급성장을 할 수 있었던 반면에 공격적이고 호전적이며 보수적인 가치를 대변하는 권력 집단으로 둔갑하고 말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한국 교회의 반(反)생명적 성장주의 이데올로기를 극복하기 위한 성서적 자원을 다각도로 모색한다. 성서가 확증하는 교회론은 ‘영광의 교회론’이 아니라 ‘섬김의 교회론’이라고 할 때, 한국 교회의 체질 개선은 전적인 ‘전향’(metanoia)을 동반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전향을 위한 몇가지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대신하게 된다.
This article aims to trace how Korean Protestant Church came to be in the 'minus premium' and to grope how to restore to its beauty from a woman's perspective. The reason why Korean Church is tumbled down, it seems, is its appropriation of Confucian patriarchism as its practical base in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ation. As a matter of fact, the incredible growth of Protestantism in modern Korea is mainly due to its getting on the bandwagon that is male chauvinism and militarism. In its process, it has been changed into the power group to represent the aggressive and conservative social values. In this context, the author tries to search for some biblical wisdoms to overcome the Korean Church's growth-first ideology. This article suggests 'womb-church' as a metaphor of 'ecclesiology of servanthood' instead of 'ecclesiology of glory'.
초록
1.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2. 추하다, 교회여!
3. 길을 찾아서
4. 원기독교를 꿈꾸며
5. 아름답다, 교회여!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