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폴란드어와 한국어 자음의 변이음 비교
- 한국중동부유럽학회
- 동유럽발칸학
- 동유럽발칸학 제14권 제1호
-
2012.06177 - 194 (18 pages)
- 66

본 논문은 폴란드어와 한국어 자음의 변이음을 비교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음의 변이음은 그 수가 매우 적고 대부분 동시 조음의 결과로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첫 번째로 상보적 분포와 자유 변이에서의 음운론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는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대부분의 변별이음에 대해 설명하였고, 세 번째로는 음운론자들과 음성학자들에 의해 다루어져 왔던 변이음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전통적 견해들을 언급하였다. 본 고에서는 폴란드어와 한국어의 음소와 그 이음들은 해당 이음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어들의 발음을 예로 제시하였으며 이를 도표화하여 비교하였다. 한국어의 무표적 음소는 유표적 음소보다 가변성이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가변성은 폴란드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모음이나 공명음의 양 옆으로 이웃하는 장애음은 한국어에서는 유성음화되지만 그것이 보편적인 경향은 아니었다. 폴란드어의 (전)경구개자음뿐만 아니라 한국어 경자음과 격음(유기자음)의 가변성은 경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주요한 변이음과 기준의 선택이 매우 어려울 수 있음을 보여준다(c.f. 한국어의 상보적 분포 [l]/[ɾ]), (자음: /ɕ/, /tɕ/와 /ɲ/은 폴란드어에서는 개별 음소로 분류되지만 한국어에서는 각 /s/, /tʃ/과 /n/음의 변이음이다.
This article aims at a comparative study of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It seems that in contrastive phonological research there is a need not only to show quantitative regularities in phonological inventories, e.g. phoneme /ɲ/ is present in x% of languages but also to show whether a feature (or a segment) is distinctive in given languages or appears only at the phonetic level, cf. phoneme /ɲ/ in Polish but only an allophone [ɲ] of the phoneme /n/ in Korean. Vowel allophony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here as it is quite poor and most of modifications are the results of coarticulation. First, the phonological conditions for complementary and free variant allophony are given. Secondly, the most distinctive Polish and Korean allophones are described. Thirdly, it is shown that there are various traditions in the description of allophony, as it is dealt with both by phoneticians and phonologists. Polish and Korean phonemes and their variants are compared in tables which contain also examples of the pronunciation of words containing these allophones. It is concluded that Korean unmarked phonemes exhibit stronger tendency to variability than marked ones and such variability it does not occur in Polish. An obstruent neighbored on both sides by vowels or sonorants can become voiced in Korean but it is not a universal tendency. Variability of Korean fortis and aspirated consonants as well as Polish (pre)palatal consonants is minimal. It is shown that selection of the main variant and norm can be quite hard (cf.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Korean [l]/[ɾ]). Consonants: /ɕ/, /tɕ/ and /ɲ/ are separate phonemes in Polish but in Korean they are only the allophones of phonemes /s/, /tʃ/ and /n/ respectively.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Consonantal allophony in Polish and Korean
Ⅲ. Conclusions
References
<국문 요약>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