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rth Korea’s Contingency: Possible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북한 급변사태시 중국의 군사개입
- New Asia Research Institute
- New Asia
- Vol.19 No.2
-
2012.06207 - 231 (25 pages)
- 400

이 글은 북한 급변사태시 중국의 군사개입을 목적, 유형, 형태로 구분하여 이를 예측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 급변사태시 중국은 안보적 요인, 경제적 요인, 그리고 정치ㆍ사회적 요인 때문에 군사적으로 개입하려 할 것이다. 약 50만 명의 지상군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들의 최초 임무는 저항군 소탕, 국경지대 통제 등이 될 것이며 차후 임무는 안정화 작전이 될 것이고 최종 임무는 친중 정부 수립을 지원하는 일이 될 것이다. 개입유형은 단독 개입, 다국적군 개입, 유엔 평화유지군 개입 등 3가지 형태를 고려해 볼 수 있다. 단독 개입은 한국을 비롯한 이해당사자들의 반발, 대중국 봉쇄 벨트의 현실화 가능성, 성공에 대한 불확실성, 개입으로 인한 엄청난 인적ㆍ물적 피해, 한반도 개입 역사에 대한 후유증 등으로 인해 곤란할 것이다. 유엔 평화유지군 개입도 현실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결국 다국적군 개입을 선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다국적군 개입도 사전에 관련당사국들 사이에 충분한 논의가 전제되지 않는다면 한중간에 우발적 충돌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사전에 다양한 트랙을 통해 합의를 이뤄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orecast the china’s military intervention in case of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by classifying its engagement as a type, shape and aim. In case of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the China may intervene due to its security,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actors. Approximately, 500,000 ground troops may be dispatched and their initial task might be crack down the resistants and securing border areas. In addition, their additional missions will be the task of stabilizing operation and establishing pro-Chinese government may be their final task. The types of intervention can be considered as unilateral intervention, multilateral intervention and UN PKO intervention. In case of unilateral intervention, the China may have difficulties such as ROK and relevant state’s resist, and military blockade by the US, the uncertainty of success, a substantial damage cased by the intervention and historic aftereffect. The UN PKO intervention may be difficult in a real situation so the multilateral intervention might be the most plausible option. But the multilateral intervention also can cause unexpected military conflict between the ROK-U.S. and China without prior consultation over the intervention to the North Korea. Therefore, the ROK-U.S. and China need to reach an agreement through various tracks before the contingency situation breaks out.
〈국문요약〉
Ⅰ. 서론
Ⅱ. 군사 개입의 목적
Ⅲ. 중국의 군사개입 양상
Ⅳ. 개입 유형
Ⅴ. 결론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