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판타지영화가 영화의 탄생과 거의 그 시기를 같이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관객들은 2000년대 이후에 만들어진 <해리포터>시리즈와 <반지의 제왕>시리즈와 같은 부류의 영화들만 판타지영화라고 여기는 것은 이들 작품들이 비슷한 시기에 등장했고, 고도의 디지털기술로 압도적 시각적 환상성을 제공하면서 판타지소설로부터 비롯된 비슷한 서사구조와 형태로 일련의 작품군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런 오해를 바로잡고 명확한 판타지영화의 범주설정을 위해 7개의 하위장르를 구분했다. 하위장르는 지배적요소에 따라 결정되는데 SF는 기계문명에 대한 제시가 지배적일 때, 서사는 현실세계와 전혀 다른 ‘2차 세계’가 설정 될 때, 기괴는 ‘괴수, 공포’ 등이 지배소로 등장할 때, 무협은 동양의 무술이 비현실적으로 표현될 때, 동화는 보편적으로 알려진 동화를 원작으로 할 때, 영웅은 초인간적 행위가 부각될 때, 멜로는 사랑이야기에서 환상성이 전제가 되어야만 이야기가 진행될 때로 규정했다. 그리고 하위장르 규정의 효용성을 지시성, 통계지표, 공식성, 상호 텍스트성, 이렇게 4가지를 제시하면서 이는 하위장르 규정이 관객, 제작사, 작가, 학자 등에 고루 유용하다는 점을 밝혔다.
Although The first fantasy movie was released when early in the beginning of the movie history, Most of moviegoers consider that the fantasy film was released in the recent years like <harry potter> series and <Lord of the ring> series. It is because those movies had mega-hit. those movies were similar with high quality digital technology and storytelling. so, people think the fantasy movie was begun with those movies. but it isn't. To make a correct notion of fantasy movie, this thesis try to find out the definition of fantasy movie and set up 7 sub-genres. sub-genres are ruled with main element which consist of the content, From this point of view, machine-technology is main element of SF. 'second world' is epic, 'monster and horror' is weird, 'unreal action' is martial-art, 'fairy tale' is children's story, 'super ability' is super hero and 'fantastic story' is melo, alike. and 4 useful sub-genre was suggested, direction, statistical indicator, intertextuality are those usefulness.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판타지영화의 개념
Ⅲ. 판타지영화의 하위장르
Ⅳ. 하위장르 구분의 효용성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