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고우영의 만화 〈가루지기〉에 관한 연구이다. 만화 〈가루지기〉는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를 기초로 하여 일간스포츠에 연재되었던 만화이다. 일간스포츠와 고우영 연재 극화는 그 당시 등장한 뉴미디어였으며, 그 미디어를 즐겨 찾는 취향공중의 특성을 대변하는 문화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고우영의 작품들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두가지 큰 특징을 지니고 있다. 원전이 되는 고전에 대한 자의적 해석과 과장된 캐릭터의 창조가 그것인데, 고우영의 만화 〈가루지기〉 역시 고우영식 고전해석의 특징인 자의적 해석에 의한 서사구조의 변화와 과장된 캐릭터를 이용한 주인공의 성격 재창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가루지기〉의 내용이나 캐릭터의 설정이 이후 창작된 〈변강쇠가〉를 소재로 한 다양한 파생 콘텐츠의 모태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니고 있다. 고우영의 만화 〈가루지기〉는 이같은 의미에서 볼때 문화 콘텐츠 산업에서 고전인 판소리가 혹은 판소리를 이용해 만든 2차 저작물이 이후 파생되는 콘텐츠의 창작소재로서 얼마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를 재삼 인식시켜준다.
This study is comics 〈Karujigi〉 the Pansori 〈Byungangsoiga〉 is based. It was serialized in 〈Daily Sports〉. 〈Daily Sports〉 that appeared at that time was the new media. At that time ‘taste public’ to show the attributes of cultural content can be said. Looking over Ko, U-Young’s work as a whole has two greatest features. That was arbitrary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and the creation of an exaggerated character. 〈Karujigi〉 also had arbitrary interpretation by the epic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recreate the characters with exaggerated characters. This study illuminates the new value Pansori as the subject matter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confirms that development of Pansori could be exploited as the power of high value added activities.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