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국가지식-학술정보

글로벌시대의 보호무역에 대한 경제적 비용분석과 정책 시사점

  • 646
108425.jpg

2008년 세계경제위기가 발생한 이후 주요국에서 보호주의가 확산되는 추세이다. 세계무역을 규율하는 WTO 체제는 관세 이외의 보호조치를 금지하고 있으며 관세는 거치(binding) 수준 이상으로 인상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보호주의가 널리 확산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어려울 때 수입억제를 통해 국내산업을 보호하는 정책은 국내정치적으로 지지를 받게 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보면 보호주의의 확산은 세계무역을 위축시키면서 경제위기도 더욱 악화시킨다. 지난 1930년대에 미국이 도입한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이 세계공황을 악화시킨 역사적 경험은 세계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보호주의는 막아야 된다는 역사적인 교훈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호주의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경제적 비용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제2장에서는 보호조치를 넓게 정의하여 외국 기업 및 물품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국내외 조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UNCTAD의 비관세장벽에 대한 분류방식을 이용하되, 보호주의조치를 크게 보아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즉 1) 관세, 2) 반덤핑관세, 세이프가드, 상계관세 등 무역구제조치, 3) 유사관세, 가격통제조치 등과 같은 가격조치와 금융조치, 수량제한조치, 독점조치 등과 같은 비가격조치 등 기존 유형의 비관세장벽, 4) SPS, TBT, 선적 전 검사 등 기술조치와 무역관련 조치, 유통제한, 판매 후 서비스 제한, 정부조달 제한, 지식재산권, 원산지규정 등의 제도적 조치를 포함하는 새로운 유형의 비관세장벽으로 구분하였다. 세계 주요국의 관세율 추이를 보면, 1996년 평균 10.47%에 달하였던 실행세율은 1998년 이후 9%대로 하락하였다. 그 이후 2003년에는 8%대로 하락하였고 2006년 이후 7%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무역구제조치의 경우 1990년대 중반까지 수십 건에 불과하던 발동건수가 1990년대 후반 이래 급증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2000년 전 세계의 무역구제조치의 발동건수는 136건에 달하였으며, 2005년에는 92건으로 다소 감소하다가 세계경제위기가 발생한 2009년 이후 다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기타 비관세장벽의 연도별 추이를 보면, 1990년대 후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총건수로 보면 1999년에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며, 그 후 감소세를 보이다가 2002년에 다시 증가하였고 2005년 이후 감소세로 반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관세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지만, 비관세장벽은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기술조치, 제도적 조치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비관세장벽이 널리 확산되면서 보호주의 강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경제위기 이후 주요국들은 국제무역이 급격하게 위축될 가능성을 우려하여 WTO, G20 회의, APEC 등 국제회의에서 무역과 투자장벽을 높이지 않으며 새로운 수출제한을 부과하거나 WTO 규정과 불일치하는 수출촉진조치를 취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노력에 따라 최근까지 WTO와 GTA(Global Trade Alert) 등 주요 기관의 모니터링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WTO 회원국은 국내 보호조치 압력을 효과적으로 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제3장에서는 2000년과 2010년 기간 중 주요국의 보호무역 수준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주요국 관세율의 단순평균치는 2000년 10.9%에서 2010년에는 8.2%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요국의 보호무역 수준은 2000년의 19.7%에서 2011년에는 11.0%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주요 경제권별로 살펴보면, 선진국 및 유럽권의 경우 관세율과 비관세장벽을 모두 고려한 보호무역 수준은 2000년의 평균 18.6%에 비해 2010년에는 7.0%로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주요국의 경우 2000년에 비해 2010년에는 중국(19.2%), 인도네시아(10.9%) 등의 보호무역 수준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파키스탄(16.1%), 인도(14.0%), 한국(15.2%)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남미 국가의 경우 2000년에 비해 2010년에 아르헨티나(14.9%), 브라질(19.8%), 멕시코(31.1%) 등의 보호무역 수준이 크게 하락한 것으로 추정된다. 기타 국가의 경우 2010년에는 이집트(14.0%), 요르단(11.9%) 등의 관세율이 하락한 가운데 비관세장벽의 관세상당치가 낮게 추정되면서 보호무역 수준도 2000년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난다. 2000년과 2010년의 보호무역 수준을 비교한 본 연구의 추정결과에 의하면, 세계 관세율의 하락과 FTA 확산 등 전 세계적인 자유화 추세로 인하여 2010년 보호무역 수준이 2000년에 비해 하락한 것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로서 Kee et al.(2010)은 2008~09년 기간 중 반덤

Many countries/regions including the US, the European Union, and China have implemented a wide variety of protectionist measures since 2008 when the global economic crisis occurred. As major economies are afraid of the devastating impacts of competitive protectionism, they have been warning against the strengthened protectionism at the G20 and the WTO meetings. When we review the tariff rates from 1996 to 2010, the applied tariff rates dropped from 10.5% on average in 1996 to 7.0% level since 2006. However, it turned out that the number of trade remedy measures including the anti-dumping duties, safeguards, and countervailing duties increased rapidly since the late 1990s. In addition, we have also seen non-tariff measures including TBTs and SPSs becoming more widespread in recent yea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protection in 2000 and 2010 implementing the two-stage approach suggested by Helpman et al. (2008) and Kee et al. (2009) to address problems involving endogeneity and sample selection.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level of protection dropped from 19.7% in 2000 to 11.0% in 2010. It implies that the level of protection decreased mainly due to the Uruguay Round concessions and the spreading Free Trade Agreements. When we analyze the economic costs of protectionism by types, it turned out that the trade remedy measures have a negative effect on trade, which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w types of non-tariff measures including TBTs and SPSs, which have been spreading rapidly all over the world, turned out to have depressing effects on trade. However, older types of non-tariff measures including price and quantity measures which have been kept under effective control by the WTO system, turned out to have mixed effect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impacts of protectionism on employmen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between 1991 and 2006, employing the GMM (the Arrellano-Bond dynamic panel estimation technique) system to account for potential endogeneity arising from the inclusion of the lagged dependent variable into explanatory variables. It finds that the effects of protectionism on employment depend on the wage level. In particular, protection measures such as high tariffs result in reduction of employment in industries paying higher wages. We also find that tariffs in Korean manufacturing industri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employment of blue collar workers, whereas its impacts on the white collar workforce are not significant.

서 언

국문요약

약어 정리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및 연구방법론

3. 연구의 범위와 구성

제2장 보호주의의 현황 및 국제적 논의 동향

1. 보호주의의 개념과 분류

가. 보호주의의 개념 및 데이터베이스

나. 보호조치의 분류

2. 보호주의의 세계적 현황 및 추이

가. 관세율

나. 무역구제조치

다. 기타 비관세장벽

3. 세계경제위기 이후 국제적 논의 동향과 모니터링 결과

가. 보호주의에 대한 국제적 논의 동향

나. 국제기구의 모니터링 결과

다. 민간 차원의 모니터링 결과

4. 요약 및 시사점

제3장 보호무역 수준 및 무역원활화 효과에 대한 실증 분석

1.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2. 분석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가. 분석모형

나. 데이터베이스

3. 국가별 및 시기별 보호무역 수준 분석 결과

4. 무역원활화의 효과 분석

가. 추정 방정식과 데이터베이스

나. 분석결과

5.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보호조치의 유형별 영향 분석

1.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2. 분석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가. 분석모형

나. 데이터베이스

3. 보호조치의 유형별 분석결과

4. 보호조치가 우리나라 수출입에 미치는 영향

가. 주요국 보호조치가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

나. 우리나라의 보호조치가 수입에 미치는 영향

5. 요약 및 시사점

제5장 보호주의가 고용에 미치는 파급효과

1.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가. 이론적 배경

나. 선행 연구

2. 분석모형 및 데이터베이스

가. 분석모형

나. 데이터베이스

3. 분석결과

가. 보호주의와 총고용

나. 보호주의가 사무직 노동과 생산직 노동에 미치는 영향

다. 고기술 산업과 저기술 산업

4. 요약 및 시사점

제6장 요약 및 정책 시사점

1. 주요 연구결과의 요약

가. 보호주의 현황

나. 보호무역 수준 및 무역원활화 효과

다. 보호조치의 유형별 영향

라. 보호주의가 고용에 미치는 파급 효과

2. 정책 시사점

가. 경기회복정책의 국제규범에 대한 합치성 제고

나. 보호주의에 대한 국제공조 강화

다. 고용확대를 위한 시장개방정책 추진

참고문헌

부 록

Executive Summary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