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문시의 언어가 언어의 질료적 측면에서 특징 지워진다면, 그 기본적 언어자질을 달리하는 산문시 연구에는 기존의 운문시 연구방법과는 달리,시적 언어의 또 다른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재료로서의 산문이 가지는 지배적 자질이라는 관점에서, 그 첫 번째 단계를 산문시의 시어 즉 어휘에서 출발할 수 있다. 어휘에 관한 연구는 의미장, 어휘장, 동위소 등의 개념에서 찾아볼 수있는데, 언어학, 문체론, 문학 등의 각 영역에 따라 그 개념이 달리 파악되고 있다 어휘장과 동위소가 다른 점은 동위소가 순수하게 의미론의 차원에서 해석적 관점에 입각한 개념이라면, 아휘장은 “언어의 모든 단계”를 모두 고려한다는 관점에 서있다. 보들레르의 산문시들을 통하여 살펴보던, 통사에 의해 그 구조가 결정되는 문장을 통하여 어휘가 그 구체적 양태를 부여받음으로써, 문장은 평행구조라는 통사양태를 통하여 어휘 들을 조직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 평행구조는 어휘들 의 시적 기-치와 산문시의 특징적인 리듬을 결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산문시 「항구Le port」 전체의 어휘장 구성에 있어 4개의 상황요소를 동한 의미자질들을 살펴보면 대립적 자질들을 관찰할 수 있는데, 보들레르의 시 세계를 설명하는 근본적인 대립과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어휘장 구성은 통사적 평행구조, 의미형성과 아울러 음성적 리듬이 아니라 통사적 리듬, 의미적 리듬을 형성하고 있음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보여준다. 이러한 사실에서, 산문시의 문체론적 분석에 있어 어휘장의 구성이 가지 는 근본적인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Ⅰ. Poème en prose et lexique
Ⅱ. Pourquoi champs lexicaux?
Ⅲ. Lexique/syntaxe/rythme
Ⅳ. Constructions des champs lexicaux
Ⅳ. Syntaxe/rythme/construction sémantique
Ⅴ. Mise en valeur de la construction des champs lexicaux
Bibliographies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