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Aperçu sur la sémiotique greimassienne avec un essai d’analyse du texte narratif 〈Vent et Ville〉

서사텍스트 〈바람과 도시〉의 분석시론을 통한 Greimas 기호학 소고

  • 5

텍스트의 구성 요소들과 그 통합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고자 했던 구조주의의 연장선상에 있는 Greimas 기호학은 Hjemslev의 언어 이론에 영향을 받아 이원주의적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Greimas가 모든 의미의 기본구조로 제시한 기호사각형은 두 관계항들의 대립, 모순, 전체의 관계 형식으로 이뤄진다. 이야기의 심층구조를 천착하여 의미 생성의 경로를 탐색하는 Greimas 기호학은 Barthes가 제시한 세 기술 층위로부터 착상을 얻어 분석 층위를 형상, 서사, 주제의 세 층위로 나누고 있다. Greimas 이론의 중심 축인 ‘행위모델’의 구상에 영향을 준 것은 Propp의 ‘기능’ 개념이었다. 행위모델은 Propp의 31개 기능으로부터 도출된 6개의 행위자를 3개의 축 상에서 관계화 한 구조모델인데, 행위자들의 서사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실현된다. Greimas 이론에 의한 〈바람과 도시〉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행위모델의 지나치게 큰 적용 가능성이다. 텍스트의 허구 세계를 구성하는 많은 요소들이 다양한 행위자 역할을 담당할 수 있기 때문에 분석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면 너무나 복잡한 서사적 분석이 될 수 있다. 행위자들의 이원적 대립 관계에 기반을 둔 행위모델은 보조자와 수여자의 유사한 역할을 고려할 때, 주체, 대상, 수여자의 삼원적 관계모델로 단순화할 수 있다.

Ⅰ. Intoduction

Ⅱ. Les fondements théoriques

Ⅲ. L’application de la théorie

Références

〈국문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