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高丽李穑基于《春秋》的理解探讨其历史意识和经世思想

이색의 《춘추》 이해를 통한 역사의식과 경세사상의 고찰

  • 46

이색(李穡 1328~1396)은 원제국(元帝國)이 고려를 지배한지 100여년이 지난 고려 말에 태어났다. 14살 되던 해, 원(元)의 국자감(國子監)에 입학하여 성리학을 접함으로써 그의 평생 학문의 기초를 닦았다. 이는 훗날 귀국 후 성균관(成均館) 대사성(大司成)이 되어 후학들을 선발하여 성리학을 강독, 토론함으로써 고려 성리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공헌을 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색은 원(元)과 명(明), 고려와 조선이라는 왕조의 교체기에 따른 역사적 전환기에 처하여 자신의 경세사상과 역사의식을 적극적으로 드러내게 되었다. 본고는 이색의 《춘추(春秋)》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역사의식과 경세사상을 고찰함으로써 역사적 전환기에 나타난 한 인간의 행동 양식과 정신세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이색은 전 생애를 통해 6,200여 편의 시문(詩文)을 남겨 동국 문장의 으뜸으로 불린다. 그의 시문집인 《목은시고(牧隱詩稿)》와 《목은문고(牧隱文稿)》는 모두 《목은집(牧隱集)》에 수록되어있다.

1. 緖言

2. 李穑对《春秋》的理解

3. 李穑的历史意识

4. 李穑的经世思想

5. 结论

〈参考文献〉

〈국문요약〉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