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189.jpg
KCI등재 학술저널

多元文化社會整合的少數族裔社區服務角色

다문화 사회통합의 소수민족 커뮤니티서비스의 역할 - 토론토 華人 및 韓人단체 중심으로

  • 99

세계화 및 아시아의 경제발전으로 인해 과거부터 북미와 유럽국가에서 나타난 인구의 다양화 및 다문화사회는 오늘 아시아의 한국 및 대만 신흥국가로도 확장되어가고 있다. 유럽국가와 달리 캐나다는 UN에서 권장한 다문화 사회통합정책에 있어 성공한 모범사례이다. 1971년 캐나다 트루도(Trudea) 정부는 다문화주의 법안(Multiculturism Act)을 통과시켜 캐나다를 세계에서 유일하게 다문화주의를 헌법에 명기한 국가가 되었다. 이로 인하여 다문화주의는 캐나다정부로부터 사회 전반까지 관철 되었다. 이는 여러 소수민족 문화를 미국주류문화에 융합시키는 미국의 멜팅팟 (Melting pot)방식과 달리 캐나다 다문화주의의 특색은 각 소수민족의 문화를 보존하고 다양성을 인정 및 존중하여 각 민족들이 자기만의 색깔을 낼 수 있도록 하여 같이 모여 한 폭의 모자이크(Mosaic)그림을 형성하는 제도이다. 다양한 인종이 살고 있는 토론토의화인 및 한인 커뮤니티 서비스도 이런 캐나다식의 다문화 통합정책이 실현되고 있다. 그 중 새 이민자 사회정착서비스(Social Settlement Services) 부문에서 자민족(自民族), 자언어(自言語), 자운영(自運營) 시스템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중국어, 한국어를 포함한 160개국 언어로 자민족이 운영하는 커뮤니티 비영리 단체로부터 세계 각 국에서 온 이민자가 캐나다 사회통합(Integration) 정착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여 사회에 잘 적응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이런 옥토(沃土)을 제공하는 캐나다 다문화 사회통합시스템을 한국에 적용가능한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1. 序言

2. 加拿大的移民潮流與少數族裔的形成

3. 多倫多華人社區社團與服務角色

4. 多倫多韓人社區社團與服務角色

5. 結語與建議

〈參考文獻〉

〈국문초록〉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