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341.jpg
학술저널

한국 감성체계 연구를 위한 소고

An aticle for study of gamsung system in Korea

  • 108

최근 감성이 주목되면서 감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쏟아지고 있지만, 감성이라는 단어의 이해가 서로 상이한 경우가 많고, 외부 환경을 통한 감성작용을 무시하고 감수성으로서의 감성을 강조하는 실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의 감성연구에 대한 흔적들을 간략하게 추적하여 한국의 감성 체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감성 원형 연구차원에서 근대 조선의 이황과 이이는 주자의 심성정론을 바탕으로 각자의 고유한 감성이론을 구축하였고, 박지원은 연하일기에서 해외의 감성 연구와도 견줄 수 있는 감성에 대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서양의 경우에는 많은 연구들이 감성의 표출 양상을 중심으로 연구되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생리학을 바탕으로 한 연구와 사회학적인 연구로 재정리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현대 한국의 감성연구에는 한국과 서양의 연구들이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실용적인 감성 연구에 중점을 두어 감성 체계 연구가 전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 감성연구의 발전을 위해서는 인문학을 기반으로 한 감성 원형 발굴과 함께 감성작용을 바탕으로 한 감성체계 연구가 필요하다.

There’s many researches about ‘emotion-ability’(Gamsung) in korea as emotion pay attentions to koreans, but becaue firstly, the understanding for gamsung differs each other, and secondly, many articles about emotion neglects emotion works by outer milieu, and stress on gamsung as sensation, there’s a problem that no regard for researches about emotion by korean ancestors. In this article, we discussed about solution for these problems. First. we researched for research for emotion system in modern chosun era. Yi Whang and Yi I was established emotion system based of Zhu xi’s neo-confucianism, and Park Ji-won wrote about manifestation of emotion in “yeonha ilgi”. Second, we researched for western studies of emotions. They researched for emotion as expression condition, and the time flows, these studies rearranged as physiological studies and socialogical studies. Nevertheless, there is not applied of oriental and western studies in the korean gamseong studies. because there is a few researches for emotion system, but many pratical researches and articles exists. thus for develop of gamsung studies, research for emotion archetype based on humanies, and studies in emotion system, that is founded on emotion works, are need.

국문초록

1. 현 감성연구의 한계

2. 근대 조선 유교의 감성체계

3. 서양 감성연구의 이해

4. 한국 감성연구의 문제점 - 감성연구의 현주소

5. 결론 : 감성체계 연구를 위한 제안들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