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과 커뮤니케이션
Gamsung and Communication : concentrated on Insight and Context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감성연구
- 감성연구 창간호
-
2010.0847 - 67 (21 pages)
- 118

본고에서는 맥락의 통찰 과정을 대화상황에 적용해봄으로써 한국적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메커니즘을 유추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그것이 가장 한국적인 대화 상황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것인가 나아가 가장 한국적인 의사소통 방식의 하나가 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고찰의 과정에서 우선 감성과 통찰과의 상관관계, 그리고 맥락과 통찰로 이루어지는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메커니즘, 배려와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에 대해 두루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정 상황에서라면 특히 감성이 어떤 능력과 관련된 개념이라고 정의되는 상황에서라면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가 감성 커뮤니케이션 상황에 충분히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커뮤니케이션은 언제나 상대성과 그 사이에서의 소통을 전제로 하며, 긍정적 결과를 지향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은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종 매개를 사용하기 마련인데, 여기에는 언어를 비롯하여 몸짓, 문자 등등이 그 대표적인 것들에 해당한다는 점도 더불어 살펴보았다. 결국 본고에서 주목했던 통찰과 맥락은 결국 그런 암시들을 찾아내는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식이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맥락에 있어서의 통찰을 필요로 하는 대화 상황 자체가 상대를 배려하는 감성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Itried to analogize the mechanism of Gamsung’s communication in Korea. Then, I aimed to proving it to be a method of the Korean traditional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this consideration, I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the Gamsung and Insight, Thoughtfulness and Gamsung’s communication, and the mechanism of communication containing insight and context. As a result, I confirmed the fact that these relationships affected the situation of Gamsung’s communication. Because communication presupposed always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of the two and aimed at the positive result. It is natural for this communication to use every possible means for accomplishing its purpose. It is language, a gesture, a letter and etc. Eventually I had concluded insight and context attended in this study is a way of communication to find its cue. The long and short of it, the situation of communication needed insight in context is its own Gamseong’s communication to thoughtful the other.
국문초록
1. 머리말
2. 감성과 통찰의 상관관계
3. 맥락과 통찰, 그리고 감성 커뮤니케이션
4. 배려와 커뮤니케이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