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342.jpg
학술저널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 방법론 연구

A research in methodology of culture contents gamsung theraphy - In center of culture contents for Autism Spectrum Conditions

  • 111

최근 기호학의 연구대상과 그 범위가 지속적으로 넓어지고 있다. 특히 1991년 그레마스와 퐁타닐이 저술한 『정념기호학』은 인간의 감정과 감성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념기호학과 문화기호학 방법론과,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의 기본 전제가 되는 감성과 감성장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 방법론을 연구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특히 인지 및 행동, 사회적 커뮤니케이션, 감정의 표출에 문제가 있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을 대상으로 만들어졌거나, 자폐 스펙트럼 아동이 선호하고 있는 문화콘텐츠인 〈토머스와 친구들〉, 〈Mind Reading〉, 〈트랜스포터〉, 아이패드 자폐 스펙트럼아동 대상 어플리케이션 등을 분석하여 감성장애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In recently, the subjects and ranges of semiotics are continuously become broader. Especially, 〈the semiotics of passions〉, which written by A. J. Greimas and J. Fontanille, suggests the semiotic methodology of emotion and gamsung(emotion-ability) of human beings. In this paper, We tried to research and suggest the methodology of culture contents gamsung therapy(CCGT), with methodology of semiotics of passion, cultural semiotics, and understandings of gamsung and gamsung disabilities, which is the basic premise of CCGT. Also,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lture contents like 〈Thomas and friends〉, 〈Mind reading〉, 〈Transporter〉, and iPad Apps for people with Autism Spectrum Conditions(ASC), that is made for people with ASC, or culture contents what is preferred by children with ASC, who have the problems with recognition, action, social communications,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we want to build the model of CCGT for gamsung disabilities.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정념기호학의 감성이론

3. 감성 장애와 자폐 스펙트럼 장애

4.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

5. 문화콘텐츠 감성테라피의 적용사례

6.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