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해남 청신리 석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ve-storied Pagoda in the Haenam temple site

  • 26
110356.jpg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청신리 탑동 마을에는 보존상태가 양호한 1기의 석탑이 세워져 있는데, 원위치는 분명하게 알 수 없는 상태이다. 다만 덕룡산의 용혈암에 있었던 것이라고 전하기도 하고, 지금의 탑동 마을에 원래부터 세워졌던 것이라고도 전한다. 현재까지 석탑이 있었던 사찰의 명칭과 연혁을 알 수 있는 문헌 자료는 밝혀진 것이 없다. 그런데 이 석탑은 규모가 비교적 큰 편에 속하고, 기단부와 탑신부가 전체적으로 안정된 비례를 보이고 있어 주목되는 석탑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남 청신리 석탑의 양식적 특징을 살펴보고, 다른 석탑들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건립 시기를 고찰하고, 석탑이 지역 사회에서 갖는 문화사적인 측면 등을 살펴보았다. 사찰에서 종교 활동과 신앙의 중심체는 부처의 사리이기 때문에 사리를 봉안하기 위한 조형물인 탑파가 사찰 가람의 중심에 위치한다. 이중에서 석탑은 불교의 전파와 확산, 불교계의 동향 등을 살피는데 중요한 학술적 자료이다. 해남 청신리 석탑은 상륜부가 결실되기는 했지만 기단부와 탑신부가 전형적인 양식으로 보존상태도 양호하다. 기단부는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양식이 반영되어 있으며, 탑신부는 부분적으로 정연하지 못한 치석 수법이 적용되었고, 탑신석은 둔중하고 옥개석은 평박한 인상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각 부재간전체적인 비례가 다소 어울리지 않아 고려 초기 석탑 양식을 취하고 있다. 이 석탑은 불교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서도 종교와 행정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석탑의 복원과 보존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There was built form a five storied stone pagoda in the Haenam temple site. It was a ruined temple. But, it was show a good result. The stone pagodas show the history and position of Tabdongri temple-site. There is little special study. Following, they were watched by the investigator as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in Haenam country. Several investigators go deep into the study of the stone pagodas. Tabdongri temple-site was established to Unified Silla through the tiles and remains. It was enlarged with building stone pagodas in Korea dynasty. This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Tabdongri temple-site in Haenam country. This pagoda was estimated in the early Korea dynasty through the form and style. The stone pagodas show the center of history and position of Dong temple.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석탑의 양식과 건립 시기

Ⅲ. 석탑의 미술사적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