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세기 중반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과 늙은 나인 노예성의 발원
An approach of microhistory: the construction of Buddha statue in Songgwangsa temple and the aged court lady, Ro Yesyung’s prayer in the 17th century of Joseon Dynasty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호남문화연구
- 제51집
- : KCI등재
- 2012.06
- 223 - 258 (36 pages)
이 연구는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시주자인 늙은 나인 노예성(1601-?)에 초점을 맞추어 불사가 이루어졌던 17세기 중반의 역사적 무대를 당시 왕위 계승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 및 이에 따른 나인과 왕족들의 운명이 연출되던 공간으로 재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인 노예성은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시기에 자칫 정치적 참화로 비화될 수 있는 소현세자의 셋째 아들 경안군에 대한 수명장원을 발원하면서 불상을 조성하였다. 이 같은 사실에 주목하여 양자의 관계 및 그 사회 정치적 함의를 왕통과 종법 사이의 모순 및 이에 따른 정치적 갈등이라는 큰 구도 위에서 접근하였다. 이와 함께 나인 노예성이 같은 또래의 세 동료 나인의 수명장원을 발원한 사실도 눈여겨보았다. 그리하여 정치 사회적으로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상전들의 정치적 운명에 따라 자신들의 운명도 결정되던 17세기 나인들의 생애도 재현하였다. 그리하여 자신의 환갑과 경안군의 혼사를 맞이한 늙은 나인의 시주에 의하여 이루어진 불상 조성 사업을 통하여 상전에 종속된 나인들의 동료 의식과 우정도 드러낼 수 있었다. 이렇듯 이 글은 17세기 이후 고조된 정치적 긴장과 종속 여성들의 삶의 상관관계를 배경으로 노년 종속 여성과 그녀의 시주 행위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한국 역사의 중요 갈림길로 간주되는 17세기를 무대로 이곳에서 전개된 일련의 정치 갈등을 통하여 만들어진 정치적 패자의 운명 및 그와 인연을 맺었던 종속 나인들의 삶을 동시에 반추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다.
This study is interested in reconstructing the history of the mid 17th Joseon into the dramatic space of political conflicts surrounding throne succession and the involved court ladies and royal families’ destinies, by focusing on Ro Yesyung(1601~?), an aged court lady who contributed a monetary offering to a Songgwangsa temple of jeonlado in order to make a Buddha statue in 1662. A paper found to be hidden in Buddha statue reveals her prayer for the welfare of prince Kyungan who was dispelled from potential successor of throne and exiled since childhood. Besides, her paper brought to light her contemporary court ladies’ comradeships and friendship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17th century’s Joseon Dynasty, an age of great social and political transformation and the subordinated courtly women who have not emerged above the historical horizon.
【국문초록】
Ⅰ. 들어가기
Ⅱ. 17세기 중반 왕권을 둘러싼 갈등과 소현세자의 아들 경안군 이석견의 운명
Ⅲ.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조성과 발원
Ⅴ. 늙은 內人 노예성의 시주와 발원
Ⅴ.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