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내생화폐이론과 유동성선호이론: 케인즈와 포스트 케인지언

Endogenous Money and Liquidity Preference Theory: Keynes and Post Keynesian

  • 621
110422.jpg

이 논문은 황재홍(2005)에 대한 민병길(2012)의 비판에 대한 답변이다. 여기서 필자는, 케인즈의 내생화폐이론이 포스트 케인지언의 내생화폐이론과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유동성선호이론과 대부자금이론 사이의 논쟁에서 화폐내생성이 케인즈의 입장을 방어하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실히 하고자 했다.

This note responds to Min's comment on Hwang (2005). Here I clarify that the endogenous money theory of Post Keynesian is different from that of Keynes, and endogenous money does not play any important role in defense of Keynes in the debate of Liquidity Preference vs. Loanable Fund.

Ⅰ. 서론

Ⅱ. 포스트 케인지언의 내생화폐이론은 케인즈에 기반 하는가?

Ⅲ. 케인즈의 화폐내생성은 빅셀의 화폐내생성과 얼마나 다른가?

Ⅳ. 유동성선호이론과 금융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