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새삼스러운 게 아니다. 정치철학 혹은 정치사상사의 오랜 주제였거니와, 공동체주의와 자유주의 논쟁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서구의 경험을 비춰 보더라도 공동체 논의의 기원은 고대 아테네의 폴리스 공동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19세기 푸리에의 ‘팔랑쥬’나 오웬의 ‘뉴하모니’ 등은 유토피아적 기획가 맞물린 대표적인 공동체의 실험이었다. 최근 한국에서도 이른바 대안 공동체 운동이 붐을 이루고 있다. 이 운동은 인간과 자연 사이의 문제뿐만 아니라 대안 교육 운동, 공동 주거 운동, 협동 조합 운동, 생산자 공동체 운동, 공동체 경제 운동 등의 형태로 폭넓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고 있는 마을 공동체 운동도 눈여겨 볼만하다. 그 외에도 공동체에 대한 논의와 실천적인 시도들은 그 수효를 헤아리기 힘들 정도로 많은 게 사실이다. 더욱이 국가 단위를 벗어난 공동체 논의(이를테면 아시아 공동체론)까지를 고려한다면, 공동체 논의의 깊이와 폭을 감당하기란 결코 쉬운 일도 아니다. 다만 이 글에서는 유사 가족주의라는 편집증적 네트워크와 우리 의식에 기반을 둔 배타적 공동체의 유혹을 뿌리치면서 어떻게 공동체를 사유할 수 있는가, 하는 물음에 대한 작은 답변을 시도할 것이다. 이를 위해 김소진의 연작소설『장석조네 사람들』(문학동네, 2006)을 분석한다. 이 작품은 공동체를 사유하기 위한 실존적 지반과 그것을 실현하기 위한 최소 조건들에 대한 풍부한 암시들로 가득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궁극적으로 이 글의 목적은『장석조네 사람들』이라는 소설에 의지해 필자가 생각하는 공동체의 상을 어렴풋하게나마 구상해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작품 자체에 대한 문학적 혹은 미학적 분석과는 관련이 멀다.
It is not new to have interest in and discussion on a Community. It has been a long-standing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or history of political thought, and Communitarianism and Liberalism have been still in a controversy. In the light of the West, the origin of debates on a Community goes back to ancient Athens' community called Polis. And also, Fourier's ‘Phalange’ or Owen's ‘New Harmony’ in the 19th century were the typical experiment of a community associated with Utopian planning. Lately in Korea, Alternative Community Movement has been booming. The movement is being expanded from the relation between Nature and Humans to various forms such as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Co-Housing Movement, Co-operative Movement, Co-producer Movement, and Community Economic Development Movement. In addition, it is noticeable to meet Village Community Movement being developed in quite a few ways. Besides, it's true that there are numerous debates on and practical attempts at a Community. Considering a community out of the country unit (ex. Asian Community), it is quite difficult to take care of the depth and width of debates on a community. Thus, this essay will try to get one of the answers to the question, “How can we think of the Community, getting out of the temptation of a paranoid network called Quasi-Familism and an exclusive community based on We-Consciousness?”,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Kim So-jin's serial novel,『Jang Sukjo Ne Saramdeul (meaning the people residing at Jang's in Korean)』(Munhakdongne, 2006). As the work is reviewed to have the existential ground to think of a community and rich suggestions of minimum conditions to realize the community. Ultimately,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or draw a rough image of a community based on the novel,『Jang Sukjo Ne Saramdeul』, which means it is far away from any literary or aesthetic analysis on the novel.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변두리 혹은 헤테로토피아의 생태
3. 관계성에 이르는 길
4. 나오며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