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476.jpg
학술저널

예술의 소통 과정과 감성의 구조

Communication process of art and the structure of‘ Gamsung’

  • 158

본고는 감성의 기능과 역할을 토대로 그 기제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감성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이유는, 무엇보다 그것이 ‘실체’가 아니기 때문이다. 감성이 실체가 아니라는 것은 그와 관련된 모든 국면, 즉 유기체와 세계, 그리고 삶과 감성이 모두 연속되어 있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그러나 감성을 대상화하여 연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것만은 아닌데, 이때 감성 체계를 ‘선결된 이론적 요구’에 맞추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전제를 유지하기 위해, 현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기능 및 역할을 통해 감성을 논하는 방향을 택했는데, 이 과정에서 주목한 것이 바로 ‘조건’으로서의 감성이었다. 그렇다고 해도 연속된 것을 그 자체로 고찰할 수는 없기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조건으로서의 감성을 ‘내부적 감성’, 그 외의 상관 조건들을 ‘외부적 감성’으로 분할하여 접근, 어떤 항들이 각각 해당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정서’는 감성과 관련해 가장 먼저 꼽을 수 있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서가 곧 감성은 아니다. 우리는 동물과 달리 정서를 기반으로 여러 형태의 2차적 ‘지도’를 만들어낸다. 이렇듯 인간은 동물에 비해 그 ‘이상’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기제가 필요하다. 이것을 ‘느낌’이라고 보았는데, 이러한 구분은 뇌신경학을 참고한다. 이에 따르면 느낌은 정서를 메타적으로 다룰 수 있는 더 발달된 국면을 지칭한다. 따라서 느낌은 사적이고 때로는 유아적으로 보이기까지 한다. 그러나 느낌이라는, 일종의 ‘차이’는 실제로 소통되고 있는데, 이는 우리가 신체적 경험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외부적 감성’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의 후반부에서는 앞서보다 용이한 규명을 위해 분할하였던 국면들을 다시 융합하기 위한 시도를 하였다. 즉 내부적 감성이라는 기능 조건이 어떤 양상으로 외부적 감성과 연속되어 있는지를 시 해석의 과정을 통해 고찰하였던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rise the mechanism of ‘Gamsung’, based upon a function and role of it. Why was the investigation of ‘Gamsung’ difficult? Because it is not a ‘substance’. However, it is not impossible to objectify ‘Gamsung’ and to study it. At this time, ‘Gamsung’ system will not have to be fitted to ‘the theoretical request decided first’. In order to maintain this premise, I chose the direction discussing ‘Gamsung’, through a function and a role of shows up as the phenomenon. In this process, I pay attention to ‘Gamsung’ as ‘condition’. Bu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a continued thing by ‘itself’. In this research, ‘Gamsung’ as the condition of us, is named as ‘the internal Gamsung’. And for another, also I named as ‘the outside Gamsung’. And we looked into whether any kind of ports corresponded to the angular region or not. ‘One`s Emotion’ can say as the first element which can point out in connection with the ‘Gamsung’. However, the sensibility is not emotion. We are different from animals, because we makes ‘the second map’ of many forms that based on emotion. In this way, we performs this ‘in the above’ in comparison with the animals. Therefore, the corresponding to base is needed. I thought that is ‘feeling’. This division refers to neurosurgery. According to this, ‘feeling‘ is names the phase, which is more developed emotion. Therefore, ‘feeling’ seems private independent in sometimes. However, ‘feeling’ is communicated in actual, because we shares the physical experiences. At this point, the discussion on ‘the outside Gamsung’ is required. In the latter half of this study, I attempt to fuse the phases that separated for the discussion previously.

국문초록

1. 서론

2. 감성의 기능 및 구조

3. 감성과 예술

4. 시의 소통 과정과 감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