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476.jpg
학술저널

비상(悲傷)의 공명

Resonance on Grief and Hurt- A Meaning of Autumn sounds in Quyang Hsiu and Kim Hong-do

  • 67

이 논문은 중국 북송 대 문인 구양수(1007~1072)의「추성부」와 이를 그림으로 그린 조선 후기 김홍도의 <추성부도>를 통해 가을바람 소리(秋聲)라는 이미지가 시와 그림에 어떻게 형상화되었으며, 이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지 살펴 본 것이다. 구양수의「추성부」는 52세의 구양수가 가을날 밤 독서 중에 밖에서 나는 소리를 듣고 가을이 왔음을 느끼며, 이에 일어나는 감흥을 동자와의 대화 형식을 빌려 쓴 글이다. 이상을 추구하려고 노력했지만 자신의 의지와 달리 쇠잔한 심신만이 남은 사대부의 내면과 외양을 가을바람소리에 빗대어 읊은 것이다. 김홍도의 <추성부도>는 구양수의「추성부」에 공감하여 탄생한 작품이다. <추성부도>에는「추성부」의 일부를 직접 적었을 뿐 아니라, 글에서 드러내고 있는 이미지를 포착하여 조형적 언어로 다시 표현해 내었다. <추성부도>에는 독서하는 구양수와 그의 물음에 답하는 동자를 중심으로 스산한 가을 풍경이 묘사되어 있다.「추성부」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을의 쇠잔한 풍경에서 연상할 수 있는 인생 노년의 쓸쓸함을 화폭에 담아낸 것이다. <추성부도>를 제작한 1805년 무렵 김홍도는 건강도 안 좋고 생활 형편도 좋지 않아서 크게 낙담을 하고 있었음이 그 무렵 쓴 편지에서 확인된다. 이 그림을 그린 다음해 김홍도는 세상을 떠난 것으로 추정되며, <추성부도>는 그의 마지막 작품이다. 「추성부」에 쓰인 구양수의 슬픔은 수 백 년이 지난 뒤 조선의 화원화가 김홍도의 <추성부도>로 다시 형상화되었다. 김홍도 이전에도 이후에도 여러 <추성부도>가 그려졌다. 그럼에도 김홍도의 <추성부도>가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것은 한 때는 최고의 명성을 누린 화가였지만 노년의 그의 처지가 무척이나 고단했으며, 그만큼 추성부를 쓴 구양수의 심경에 공감했기 때문일 것이다.

This study analysed how the image of autumn sounds was configured in a poetry titled「Qiushengfu」by Quyang Hsiu(歐陽脩, 1007∼1072), a literary person of North Song Dynasty of China and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a painting by Kim Hong-do(金弘道, 1746~1806), and what meaning they have. In「Qiushengfu」, Quyang Hsiu described what he felt listening to sound heard outside while reading on an autumn night in a form of dialogue with a young boy, and the internal and external status of a high official who was only to be declined in health although he tried to pursue an ideal<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responded to the「Qiushengfu」, Quyang Hsiu. It contains part of「Qiushengfu」and reproduces images in the poetry through artistic words.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describes the scenery of autumn focusing on Quyang Hsiu who is reading and a young boy who is answering to his question. It als o describes loneliness of the old age which is recalled from declining scenery of autumn as the focus of 「Qiushengfu」. About 1805 when the painting was reproduced, it was confirmed from a letter that Kim Hong-do declined in health and economic status and was depressed. It is assumed that he passes away next year and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is the last pieces of his painting. Quyang Hsiu‘s sorrow described in「Qiushengfu」was reproduced in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a painter of the late Joseon period.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paintings on the Sounds of Autumn before and after Kim Hong-do, the <Paintings of the Sounds of Autumn> by Kim Hong-do is very sensational because he was very exhausted in his old age and sympathized with Quyang Hsiu who wrote「Qiushengfu」.

국문초록

1. 머리말 &#8211; 시문(詩文)과 그림의 조화

2. 글 가운데 그림 - 구양수의「추성부」

3.「추성부」의 조선 전래와 도상화

4.「추성부」에 공명한 김홍도의 <추성부도>

5. 맺음말 - 구양수와 김홍도의 슬픔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