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10494.jpg
KCI등재 학술저널

유학사상에서 본 성숙한 노화

The Confucian Concept of Matured Aging: Centered on the Theory of Ideal Person( Gun-ja)

  • 308

이 글은 동아시아 집단주의 문화의 배경이 되어 온 유학사상의 창시자이자 완성자들인 공자·맹자·순자 등 선진(先秦)유학자들의 인간파악의 기본 입장(인간관)과 그들이 제시하는 이상적 인간상에 관한 이론인 군자론과 성인론을 중심으로 하여, 유학 사상에서 도출되는 ‘성숙한 노화’의 개념을 도출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유학사상은 인간존재의 사회성, 도덕성 및 발전가능성을 기본적인 가치로 추구하는 이론체계라는 사실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유학자들이 그리는 ‘성숙한 노화’는 바로 이러한 세 차원에서의 ‘인간의 존재확대’를 이루는 과정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개체적 존재에서 사회적 존재로의 확대’(사회성 가치), ‘생물체적 존재에서 도덕적 존재로의 확대’(도덕성 가치) 그리고 ‘미성숙한 소인적 존재에서 성숙한 군자적 존재로의 확대’(발전가능성 가치)가 바로 그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ed to extract the concept of ‘matured aging’ from the Confucian Writings of Confucian Analects, Mencius, and Hsün-Tzu from the Pre-Chin era. Because matured aging could be thought as the process of pursuing the cultural imperatives represented in the basic life values in one’s society, the author tried to ascertain the basic Confucian life values from the view about human nature and a theory of ideal person (Gun-ja). From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Sociality, Morality, and Potentiality were found as the Confucian core life values. It was concluded that Confucian scholars of the Pre-Chin era hypothesized the matured aging as the process of expanding human existence; from an individual to a social being, from a biological being to a moral being, and lastly from an immatured being of So-in(小人) to a fully matured being of Gun-ja(君子).

초록

1. 유학경전에 나타나는 노(老)의 개념

2. 유학사상에서 도출되는 인간관

3. 유학사상에서 보는 이상적 인간(군자・성인)의 특징

4. 군자나 성인이 되는 과정

5. 종합논의: 유학사상에서 도출되는‘성숙한 노화’의 개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