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한국의 시사 잡지 뉴스 콘텐츠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한국의 시사 잡지 저널리즘이 처한 구조적 위기의 실체를 규명하고 미래를 전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째, 이 연구는 우선 한국의 주요 8개 시사 잡지(5개 주간지, 3개 월간지)의 뉴스 콘텐츠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 생활문화 분야의 뉴스의 비중이 높은 연성화 경향, 그리고 시사 잡지 특유의 장기간 심층취재 기획 기사의 부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어 이 연구는 현직 잡지 종사자 8명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을 새롭게 진단해 보았다. 이들은 시사 잡지의 영세성과 경제적 불안정성이 곧장 뉴스 품질의 하락으로 이어진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심층 취재의 활성화, 인력 및 자원 분야에서의 역량 강화가 이루어진다면 시사 잡지의 미래는 밝다는 전망도 함께 보여 주었다. 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이 연구는 디지털ㆍ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도래에도 불구하고, 시사 잡지 저널리즘의 본래적 가치 회복이 여전히 위기 해결의 열쇠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한다. 더불어 시사 잡지 본연의 저널리즘 역량을 회복하기 위한 법⋅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crisis that the magazine journalism in Korea encounters today and aims to prospect its future, based on the analysis of news contents of magazines. First, this research draws on emprical analysis of news contents in eight major news magazines in Korea(five weekly and three monthly). We observed that there are more soft news in such sections as society, life and culture, and weakening of in-depth articles expected to be appeared in news magazines. And through depth interviews with eight journalists who are working for the news magazine, this research tries to diagnose present issues. They consider that news quality is worsening because of small-scaleness, economic instability of news magazines. They are also quite positive about the future of news magazine, if there is a reinforcement of in-depth journalism, human resources and materials. This paper concludes that, to resolve the crisis, it is important to regain the intrinsic values of magazine journalism. Furthermore, we propose that legal, institu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recover proper values of news magazine journalism.
1. 들어가며
2. 문헌 연구
3.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 시사 잡지의 미래 전망
참고문헌
<ABSTRACT>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