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우리나라 출판통계 시스템 구축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Domestic Publication Statistics System

  • 211
110633.jpg

한 나라의 출판은 그 나라 문화의 척도이다. 출판은 여전히 뉴미디어들과의 패권경쟁을 이겨내며 인류역사와 문화발전을 이끌고 있다. 선진국들이 21세기에도 국가적 핵심전략산업으로 출판산업을 더욱 집중 육성하는 이유는 정보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출판산업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출판시장은 매체환경의 변화로 위기를 맞고 있다. 그나마 대형출판사와 인터넷서점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활로를 모색하고 있지만, 중소형 출판사와 서점들은 하나 둘 문을 닫고 있는 실정이다. 정책 당국과 범출판계가 이러한 환경 변화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할 시점인 것이다. 출판계가 급변하는 매체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당장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출판통계 시스템의 확립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출판통계 시스템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 출판통계의 실태를 살펴보고, 외국의 선진 통계시스템의 동향 등을 분석하였다.

The publications of a country are a barometer of its culture. Publication still determines the direction of human history and cultural development by competing for new media. Developed countries are intensively growing their publication industries as an industry of national strategic importance even in the 21st century because publishing is an important force that is moving the information society forwards. However, the publication market is in serious crisis because of changes in the multimedia environment. Although major publishers and some internet bookstores are trying to find a means of escape by resorting to economy of scale, more small and medium-sized publishers are shutting down. It is time for the judicious ac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ation industry. There are many immediate problems to address in light of the rapidly changing multimedia environment, but the first task that should be done is establishing a publication statistics system. This study proposes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such a domestic publication statistics system, and also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domestic publication statistics and analyzes trends in the advanced statistics systems of developed countries.

1. 서론

2. 통계 시스템 체계화의 동향

3. 우리나라 출판통계의 생산실태

4. 해외 선진국의 출판통계조사 시스템

5. 결론 : 출판통계 시스템 구축방향

참고문헌

<ABSTRACT>

(0)

(0)

로딩중